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어립사(御立史; 미타치노후히토)

어립사(御立史; 미타치노후히토)
 어사(御使; 이츠카히)와 같은 씨이며 기입언명(氣入彦命; 게이리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지통천황(持統天皇; 지토텐노) 때 삼하국(參河國; 미카하노쿠니) 청해군(靑海郡; 아오미노코호리) 어립(御立; 미타치) 지역에 거주하였다. 이로 인해 어립사(御立史; 미타치노후히토)라는 성을 받았다. 『일본기』에 누락되었다.
 
【주석】
1. 어립사(御立史)
어립(御立; 미타치)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삼하국(參河國; 미카하노쿠니) 청해군(靑海郡; 아오미노코호리) 어립(御立; 미타치)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애지현(愛知縣) 풍전시(豐田市) 고교(高橋) 일대에 해당된다.
어립사 일족은 『육국사』 나 고문서 등에 보이지 않는다. 다만 『속일본기』 신귀(神龜)원년(724) 5월 신미조에는 종5위하(극위) 오숙호명(吳肅胡明; 고슈쿠고묘)에게 어립련(御立連; 미타치노무라지)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5년(721) 정월 갑술조에 종5위하 오숙호명(吳肅胡明)의 의술 관련 상사(償賜) 기사가 적혀 있다.
2. 어사동씨(御使同氏)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어사조신동조(御使朝臣同祖)’라고 기재되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어사씨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상) 「어사조신(御使朝臣)」 조(082) 참조.
3. 기입언명(氣入彦命)
기입언명은 좌경 황별(상) 「어사조신(御使朝臣)」 조(082) 기입언명 참조.
4. 지통천황(持統天皇)
지통천황(645~703)은 남편인 천무천황(天武天皇)이 죽은 뒤에 즉위하지 않은 채 정무를 수행한 칭제(稱制) 시기를 거쳐 지통천황 11년(697)까지 재위하였다. 아버지는 천지천황(天智天皇)이고 어머니는 소아원지낭(蘇我遠智娘)이며 할아버지는 소아창산전석천마려(蘇我倉山田石川麻呂)이다. 지통천황의 치세에 천무천황의 정책을 계승하여 호적을 작성하였고, 비조정어원령(飛鳥淨御原令)의 제정과 등원경(藤原京)의 조영이라는 2대 사업을 완성하였다. 지통천황 11년에 경황자인 문무천황(文武天皇)에게 양위하였다. 경인년은 지통천황 4년(690)에 해당된다. 경인년적에 관해서는 우경 황별(하) 「진야신(眞野臣)」 조(154) 참조.
5. 일본기루(日本紀漏)
지통천황 시대에 어립사라는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가 『일본서기』에 보이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라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어립사(御立史; 미타치노후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