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건부공(建部公; 다케루베노키미)

건부공(建部公; 다케루베노키미)
 견상조신(犬上朝臣; 이누카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일본무존(日本武尊;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건부공(建部公)
부공(建部公; 다케루베노키미)씨는 건부(建部)를 관장하는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건부는 무부(武部), 건부(健部)라고도 쓴다. 『일본서기』 경행천황(景行天皇) 40년 시세조에는 “일본무존(日本武尊;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공적을 기록하려고 무부(武部; 다케루베)를 정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또 『출운국풍토기(出雲國風土記)』 출운군 건부향(健部郷)조에는 “짐의 아들 전향회대궁어우천황(纏向桧代宮御宇天皇, 경행천황[景行天皇])이 짐의 아들 왜건명(倭健命;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이름을 잊지 않기 위해 신문신고녜(神門臣古禰; 간도노오미후루네)를 건부(健部; 다케루베)로 정하였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건부는 일본무존(왜건명)의 무위를 전하기 위해 설정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어명대(御名代)로 간주되거나, 각국에 설치된 군사적 부민으로 각국의 국조 일족이 반조에 임명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건부공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天平) 20년(748) 2월 기미조의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건부공풍족(建部公豐足),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10월 경오조의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極位)로 승진한 건부공인상(建部公人上)이 있다.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2년(766) 7월 기묘조의 근강국(近江國) 지하군(志賀郡)에 설치된 군단의 장관인 대의(大毅)에 보임된 소초위상(少初位上) 건부공이하마려(建部公伊賀麻呂)가 조신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고, 『일본삼대실록』 인화(仁和) 원년(885) 12월 23일계유조의 축후종소목(筑後從少目) 종7위하 건부공정도(建部公貞道) 등이 보인다.
2. 견상조신동조(犬上朝臣同祖)
『일본서기』 경행천황(景行天皇) 51년 8월 임자조에는 “일본무존이 양도입희황녀(兩道入姬皇女)에게 장가들어 도의별왕(稻依別王; 이나요리와케노미코)을 낳았다.”라고 적혀 있고, 『고사기』경행천황단(景行天皇段)에는 도의별왕(稻依別王)의 분주에 “견상군(犬上君), 건부군(建部君) 등의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황본기 성무천황(成務天皇) 48년 3월 경진삭조에는 일본무존이 양도입희황녀(兩道入姬皇女)를 비로 삼아 도의별왕을 낳았다고 하고, 도의별왕의 분주에 무부군(武部君) 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견상조신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상) 「견상조신」 조(083) 참조.
3. 일본무존(日本武尊)
일본무존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경행천황(景行天皇)의 황자로 웅습(熊襲)과 동국(東國) 정토를 행한 인물로 나온다. 『일본서기』와 『선대구사본기』에는 일본무존(日本武尊;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 『고사기』에는 왜건명(倭建命; 야마토타케루)이라 적혀 있다. 또 『일본서기』 경행천황(景行天皇) 52년 8월조에 “일본무존은 양도입희황녀(兩道入姬皇女; 후타지이리비메노히메미코)에게 장가들어 도의별왕(稻依別王; 이나요리와케노미코)을 낳았다.”라고 하고, “도의별왕은 견상군(犬上君; 이누카미노키미)과 무부군(武部君; 다케루베노키미) 무릇 2씨족의 시조이다.”라고 적혀 있다. 『고사기』 경행천황단에는 “왜건명이 근담해(近淡海) 안국조(安國造)의 조상인 의부다모화기(意富多牟和氣)의 딸 포다지비매(布多遲比賣)를 아내로 맞이하여 도의별왕을 낳았다”라고 하고, “도의별왕은 견상군과 건부군(建部君; 다케루베노키미) 등의 조상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기기』에는 무부군(건부군)의 조상이 일본무존(왜건명)의 아들 도의별왕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건부공씨가 건부(무부)의 반조씨족이었던 것에서 본조의 일본무존이 후손이라는 계보나 일본무존의 자손이라고 전하는 도의별왕을 시조라고 하는 계보를 만들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4.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2년(766) 7월 기묘조의 근강국(近江國) 지하단(志賀團)대의(大毅) 소초위상(少初位上) 건부공이하마려(建部公伊賀麻呂)가 조신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건부공(建部公; 다케루베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