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도공(道公; 미치노키미)

도공(道公; 미치노키미)
 씨가 같다.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손자 언옥주전심명(彦屋主田心命; 히코야누시타코코로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도공(道公)
도공의 도(道; 미치)라는 씨명은 율령제 가하국(加賀國) 석천군(石川郡) 미지(味知; 미치)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석천현(石川縣) 백산시(白山市) 일대에 해당된다. 도공은 도군(道君; 미치노키미)이라고도 표기한다.
도공(군)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흠명천황(欽明天皇) 31년(570) 5월조의 이름이 빠진 도군(道君; 미치노키미)이 보인다. 또 『속일본기』 문무천황 4년(700) 6월 갑오조 등에 대보율령의 찬정에 참가한 도군수명(道君首名)이 보인다. 그는 화동(和銅) 5년(712) 9월 을유조에 견신라대사(遣新羅大使)로 나오고, 양로(養老) 2년(718) 4월 을해조에 축후수(筑後守) 정5위하(극위)로 죽었다고 적혀 있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2년(835) 정월 계축조에 좌경인(左京人) 견당사생(遣唐史生) 도공광지(道公廣持)가 당도조신(當道朝臣)이라는 성을 받았으며, 도군수명의 손자라고 적혀 있다. 『일본후기』 연력(延曆) 24년(805) 10월 경신조에는 이두국(伊豆國)으로 유배된 좌도국(佐渡國) 사람 도공전성(道公全成) 등이 보인다. 월국(越國), 사도국(佐渡國) 등에도 도공과 관련된 인명이 확인된다.
2. 동씨(同氏)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완본에는 ‘동씨’가 아니라 ‘동조’라고 표기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또 본문에 기재된 언옥주전심명의 후손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 ‘이하신동조(伊賀臣同祖)’였을 것이고, 대언명의 손자라고 하며 대언명을 제시한 것에 중점을 두면 ‘아폐신동조(阿閉臣同祖)’로 완본에 기재되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그러나 동씨(同氏)는 씨가 같은 것이고 동조(同祖)는 조상이 같은 것을 나타내므로 구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3. 대언명(大彦命)
효원천황(孝元天皇)의 맏아들이며 개화천황(開化天皇)의 형이다. 『고사기』에는 대비고명(大毘古命; 오히코노미코토)이라 표기되어 있다. 『일본서기』 효원천황 7년 2월 정묘조에는 대언명(大彦命)이 아배신(阿倍臣),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협협성산군(狹狹城山郡), 축자국조(筑紫國造), 월국조(越國造), 이하신(伊賀臣) 등 7씨족의 시조라고 전한다.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의 대언명 참조.
4. 언옥주전심명(彦屋主田心命)
대도여명(大稻輿命)의 아들이다. 우경 황별(상) 「음태부(音太部)」 조(148)에는 “고교조신(高橋朝臣)과 조상이 같고 언옥주전심명(彦屋主田心命)의 후손”이라 적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도공(道公; 미치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