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전변사(田邊史; 다나베노후히토)

전변사(田邊史; 다나베노후히토)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4세손 대황전별명(大荒田別命; 오아라타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전변사(田邊史)
전변사라는 씨명은 전변폐사적(田邊廢寺蹟)이 있는 율령제 하내국(河內國) 안숙군(安宿郡)의 자모향(資母鄕) 전변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박원시(柏原市) 전변(田邊; 다나베) 일대이다.
전변사 일족으로는 『일본서기(日本書紀)』 웅략(雄略) 9년 7월 임진삭조의 전변사백손(田邊史伯孫), 백치(白雉) 5년(654) 2월조의 견당사 일원으로 파견된 전변사조(田邊史鳥)가 보인다. 『속일본기(續日本紀)』에는 문무천황(文武天皇) 4년(700) 6월 갑오조에 추대일(追大壹, 685년 제정 48계 관위 중 33위) 전변사백지(田邊史百枝)와 진대이(進大貳, 685년제정 48계 관위 중 43위) 전변사수명(田邊史首名)이 율령 찬정 공로자로 녹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화동(和銅) 3년(710) 정월 갑자조의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전변사비량부(田邊史比良夫), 천평(天平) 3년(730) 12월 을미조의 갑비국수(甲斐國守) 외종5위하(극위) 전변사광족(田邊史廣足)이 보인다. 천평 17년(745) 9월 무술조에 삼하수(參河守)에 임명된 외종5위하 전변사고액(田邊史高額), 천평승보(天平勝寶) 원년(749) 8월계해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전변사광빈(田邊史廣濱)을 들 수 있다. 천평승보 2년(750) 3월 무술조에는 종5위하(극위) 전변사난파(田邊史難波) 등이 상모야군(上毛野君)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으며, 연력(延曆) 원년(782) 8월 경신조에는 외종5위하(극위) 전변사정족(田邊史淨足)이 이두수(伊豆守)에 임명된 기록이 보인다. 『일본후기(日本後紀)』 연력 24년(805) 8월 계묘조의 종8위하에서 외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전변사동녀(田邊史東女),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원년(859) 12월 27일 무신조의 사생(史生) 종6위상 전변사택주(田邊史宅主) 등이 보인다. 또 고문서에는 천평 5년(733) 「우경계장(天平五年 右京系帳)」(『대일본고문서』1-484)의 전변사진립(田邊史眞立), 천평 17년 4월 21일자 「조궁성이(造宮省移)」(『대일본고문서』 24-294)의 전변사당성(田邊史當成), 천평 20년 8월 「경사등상일장(經師等上日帳)」(『대일본고문서』10-368)의 전변사어주(田邊史魚主) 등이 보인다.
2.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풍성입언명은 숭신천황(崇神天皇)의 황자이다. 『일본서기』에는 풍성입언명, 풍성명(豐城命), 『고사기』에는 풍목입일자명(豐木入日子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이라 적혀 있다. 『고사기』 숭신천황단과 『일본서기』 숭신천황(崇神天皇) 48년 4월 무신삭 병인조에는 상모야군(上毛野君)과 하모야군(下毛野君)의 시조라고 기술되어 있다.
3. 대황전별명(大荒田別命)
대황전별명은 황전별(荒田別; 아라타와케), 황전별명(荒田別命; 아라타와케노미코토)이라고도 표기된다. 『일본서기』 신공황후(神功皇后) 섭정 49년 3월조에는 황전별과 녹아별(鹿我別; 가가와케)이 신라를 치기 위해 파견된 전승이 기재되어 있고, 응신천황(應神天皇) 15년 8월 정묘조에는 황전별이 상모야군(上毛野君)의 조상이라고 적혀 있다. 우경 황별(상) 「대야조신」 조(138) 대황전별명(大荒田別命)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전변사(田邊史; 다나베노후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