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수수공(垂水公; 다루미노키미)

수수공(垂水公; 다루미노키미)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4세손 하표내진치명(賀表乃眞稚命; 가호노마와카노미코토)의 후손이다. 6세손 아리진공(阿利眞公; 아리마노키미)이 효덕천황(孝德天皇) 때 천하가 가물어서 강과 우물이 말라 버렸다. 이때 아리진공이 나무로 수로를 만들어 수수강(垂水岡; 다루미노오카)에서 나는 물을 궁 안으로 통하게 하고 천황에게 식사를 바쳤다. 천황이 그 공을 칭찬하여 수수공이라는 성을 주고, 수수신사(垂水神社; 다무미노카미노야시로)를 관장하게 하였다. 『일본기』에는 누락되었다.
 
【주석】
1. 수수공(垂水公)
수수(垂水; 다루미)라는 씨명은 『유취국사(類聚國史)』 권107 제원사(齊院司) 천장(天長)3년(826) 7월 신묘조의 섭진국(攝津國) 수수장(垂水莊; 다루미쇼) 및 『연희식(延喜式)』신명장(神名帳) 섭진국 풍도군(豐島郡) 수수신사의 진좌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취전시(吹田市) 풍진(豐津) 일대에 해당된다.
수수공 일족으로는 『영락유문(寧樂遺文)』(下-635)에 수록된 「천평보자 6년(762) 5월(天平寶字六年五月) 장아함십보법경(長阿含十報法經) 권하발어(卷下跋語)」에 적힌 수수공흑인(垂水公黑人)」 이 있다.
2.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풍성입언명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전해지는 제10대 숭신천황(崇神天皇)의 황자이다. 『일본서기』 숭신(崇神) 48년 4월 무신삭 병인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과 하모야군(下毛野君)의 시조라고 기술되어 있다. 좌경(左京) 황별(하) 「하모야조신(下毛野朝臣)」 조(097) 참조.
3. 하표내진치명(賀表乃眞稚命)
하표내진치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다만 풍성입언명의 4세손 하표내진치명과 좌경 황별(하) 「대망공(大網公)」 조에 나오는 풍성입언명의 6세손 하모군나량(下毛君奈良)의 아우 진약군(眞若君; 마와카노키미)은 이름이 같다. 그러나 세대수 면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사람일 것이다.
4. 아리진공(阿利眞公)
아리진공은 여기에만 보인다.
5. 효덕천황(孝德天皇)
효덕천황(596~654, 재위 645~654)은 일본의 제38대 천황이다. 휘는 경(輕)이다. 황극천황(皇極天皇)과 동복남매로 어릴 때는 경황자(輕皇子)로 불렸다. 황극천황 4년(645) 6월에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으며, 황극의 장자인 중대형황자(中大兄皇子, 뒤에 천지천황)를 황태자로 삼고, 연호를 대화(大化)라고 칭하였다. 간인황녀(間人皇女)를 황후로 삼았다. 백치(白雉) 4년(653)에 이르자 중대형황자는 천황의 뜻에 반대하며, 황극상황(皇極上皇)과 간인황후 이하 공경백관을 이끌고 대화(大和)의 비조(飛鳥)로 거처를 옮겼다. 난파에 남은 천황은 다음 해인 백치 5년(654) 10월 10일에 궁에서 병사하였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완본에서는 ‘시(諡)’ 앞에 ‘천만풍일천황(天萬豐日天皇)’이라는 6글자가 있고 ‘효덕’ 다음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6. 고통(高樋)
나무로 수로를 만들어 물을 통하게 만든 것이다. 앞의 「거세위전조신」(121)조 장위(長楲) 참조.
7. 수수신사(垂水神社)
수수신사는 대판부(大阪府) 취전시(吹田市)에 있는 신사이다. 풍도군(豐島郡)의 식내사(式內社)로 신사의 북쪽에 위치한 수수개강(垂水ヶ岡; 다루미노가오카)에서 솟아나는 폭포를 신체(神體)로 삼았다. 수수신사가 사서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승화(承和) 3년(836) 6월 계묘조로, 수수(垂水) 등 신사에 봉폐하고 비를 기원했다고 적혀 있다. 이후에도 수수신사는 기우와 관련된 기록에 여러 차례 등장한다. 수수신이 비를 다스리는 신이었을 수 있다.
8. 일본기루(日本紀漏)
『일본서기』에 아리진공이 수수공성을 받은 것이 보이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수수공(垂水公; 다루미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