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천변조신(川邊朝臣; 가하노헤노아소미)

천변조신(川邊朝臣; 가하노헤노아소미)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4세손 종아숙녜(宗我宿禰; 소가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천변조신(川邊朝臣)
천변조신의 천변(川邊; 가하노헤)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하내국(河內國) 석천군(石川郡)천야변(川野邊; 가하노베)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평야구(平野區) 장길정(長吉町) 일대이다. 『일본서기』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천변신(川邊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천변(川邊; 가하노헤)은 하변(河邊; 가하베)이라고도 쓴다.
천변신(하변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흠명(欽明) 23년(562) 7월 시월조(是月條)의 부장군(副將軍) 하변신경부(河邊臣瓊缶; 카하베노오미니헤), 추고천황(推古天皇) 26년(618)시년(是年)조의 이름이 빠진 하변신, 추고천황 31년(623) 시세(是歲)조의 소덕(小德) 하변신녜수(河邊臣禰受), 대화(大化) 2년(646) 3월 신사조의 하변신백의(河邊臣百依)와 하변신기박(河邊臣磯泊), 대화 5년(649) 정월 무신삭 대사(大使) 소금하(小錦下, 664~685년에 사용된 관위 26계 중 12위) 하변신마려(河邊臣麻呂), 천지천황 즉위전기(661)의 소화하(小花下, 649~664년에 사용된 관위 19계 중 10위) 하변백지신(河邊百枝臣), 천무천황 즉위전기(672)의 소금상(小錦上) 하변신백지(河邊臣百枝), 천무천황 10년(681) 12월 갑술조의 소금하 하변신자수(河邊臣子首) 등이 있다.
천변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續日本紀)』에 의하면 화동(和銅) 원년(708) 정월 을사조에 정6위하에서 종5위하(極位)로 승진한 천변조신모지(川邊朝臣母知), 양로(養老)7년(723) 정월 병자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하변조신지마려(河邊朝臣智麻呂), 보귀(寶龜) 원년(770) 10월 신해조에 석견수(石見守)가 된 종5위하(극위) 천변조신동인(川邊朝臣東人), 보귀 9년(778) 정월 계해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하변조신도수(河邊朝臣島守), 보귀 11년(780) 12월 신해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하고(極位) 연력 4년(785) 10월 갑술조에 안예개(安藝介)에 임명된 천변조신정장(川邊朝臣淨長)을 들 수 있다. 『일본후기(日本後紀)』 연력 18년(799) 정월 정사조에는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천변조신택(川邊朝臣宅)이 보인다.
2.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효원천황단(孝元天皇段)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효원의 증손자로 경행(景行) 대에 출생하여 성무(成務) 대에 대신의 지위에 올랐으며 중애(仲哀)를 거쳐 신공(神功), 응신(應神), 인덕(仁德) 대까지 활약한 인물로 기재되어 있다.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무내숙녜 참조.
3. 종아숙녜(宗我宿禰)
좌경 황별(상) 「앵정조신(櫻井朝臣)」 조(067)에 “앵정조신은 석천조신(石川朝臣)과 조상이 같다. 소아석천숙녜(蘇我石川宿禰)의 4세손인 도목숙녜대신(稻目宿禰大臣)의 후손이다.”라고 하고, 「전구조신(箭口朝臣)」 조에도 “전구조신은 종아석천숙녜(宗我石川宿禰)의 4세손인 도목숙녜(稻目宿禰)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우경 황별(상) 「안전조신(岸田朝臣)」 조에는 “안전조신은 무내숙녜(武內宿禰)의 5세손 도목숙녜의 후손이다.”라고 하고, 「구미조신(久米朝臣)」 조에서도 “구미조신은 무내숙녜의 5세손 도목숙녜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또 『기씨가첩(紀氏家牒)』에서는 “소아도목숙녜(蘇我稻目宿禰)는 소아석하숙녜(蘇我石河宿禰)의 현손(玄孫), 만지숙녜(滿智宿禰)의 증손, 한자숙녜(韓子宿禰)의 손자, 마배숙녜(馬背宿禰)[또는 고려(高麗)라고 한다.]의 아들이다.”라고 적혀 있으므로, 무내숙녜의 5세손 소아석천숙녜의 4세손에 해당하는 도목숙녜의 아버지 마배숙녜로 비정할 수 있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서는 ‘종아숙녜’ 다음에 ‘마배(馬背)’라는 2글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4.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천변신(川邊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와 합치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변조신(川邊朝臣; 가하노헤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