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치전조신(小治田朝臣; 오하리타노아소미)
소치전조신(小治田朝臣; 오하리타노아소미)
위와 같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소치전조신(小治田朝臣)
소치전조신의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이라는 씨명은 지명과 관련이 있다. 『고사기』 안강천황단(安康天皇段)의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 추고천황단(推古天皇段)의 소치전궁(小治田宮; 오하리타노미야), 『일본서기』 안한(安閑) 원년 10월 갑자조의 소간전둔창(小墾田屯倉; 오하리타노미야케), 흠명천황 13년(552) 10월조의 소간전가(小墾田家; 오하리다가) 등의 지명이 보인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県)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 일대에 해당된다.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은 소간전(小墾田; 오하리타)이라고도 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소간전신(小墾田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소치전(소간전)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서명(舒明) 즉위전기의 이름이 빠진 소간전신(小墾田臣), 천무천황 10년(681) 7월 신미조의 소간전신마려(小墾田臣麻呂) 등이 있다.
소치전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문무천황(文武天皇) 3년(699) 10월 신축조에 직광사(直廣肆) 소치전조신당마(小治田朝臣當麻)와 소치전조신안마려(小治田朝臣安麻呂)가 보인다. 소치전조신안마려는 영귀(靈龜) 원년(715) 4월 병자조에 정5위하로 승진하였고, 그의 묘지명에는 평성(平城) 우경(右京) 3조 2방에 거주하며 종4위하가 극위(極位)였다고 적혀 있다. 『속일본기』 화동(和銅) 7년(714) 정월 갑자조에는 소치전조신풍족(小治田朝臣豐足)이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기사가 보이고, 천평(天平)15년(743) 6월 정유조에는 종5위하(극위) 소치전조신광천(小治田朝臣廣千)이 찬기수(讚岐守)를 역임한 기사가 보인다. 그리고 보귀(寶龜) 7년(776) 3월 계사조에는 종5위하(극위) 소치전조신제성(小治田朝臣諸成)이 월중개(越中介)에 임명된 기록이 보인다.
소치전조신의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이라는 씨명은 지명과 관련이 있다. 『고사기』 안강천황단(安康天皇段)의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 추고천황단(推古天皇段)의 소치전궁(小治田宮; 오하리타노미야), 『일본서기』 안한(安閑) 원년 10월 갑자조의 소간전둔창(小墾田屯倉; 오하리타노미야케), 흠명천황 13년(552) 10월조의 소간전가(小墾田家; 오하리다가) 등의 지명이 보인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県)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 일대에 해당된다.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은 소간전(小墾田; 오하리타)이라고도 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소간전신(小墾田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소치전(소간전)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서명(舒明) 즉위전기의 이름이 빠진 소간전신(小墾田臣), 천무천황 10년(681) 7월 신미조의 소간전신마려(小墾田臣麻呂) 등이 있다.
소치전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문무천황(文武天皇) 3년(699) 10월 신축조에 직광사(直廣肆) 소치전조신당마(小治田朝臣當麻)와 소치전조신안마려(小治田朝臣安麻呂)가 보인다. 소치전조신안마려는 영귀(靈龜) 원년(715) 4월 병자조에 정5위하로 승진하였고, 그의 묘지명에는 평성(平城) 우경(右京) 3조 2방에 거주하며 종4위하가 극위(極位)였다고 적혀 있다. 『속일본기』 화동(和銅) 7년(714) 정월 갑자조에는 소치전조신풍족(小治田朝臣豐足)이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기사가 보이고, 천평(天平)15년(743) 6월 정유조에는 종5위하(극위) 소치전조신광천(小治田朝臣廣千)이 찬기수(讚岐守)를 역임한 기사가 보인다. 그리고 보귀(寶龜) 7년(776) 3월 계사조에는 종5위하(극위) 소치전조신제성(小治田朝臣諸成)이 월중개(越中介)에 임명된 기록이 보인다.
*〈소치전안만려(小治田安萬侶)의 묘지(墓誌)〉
현재 나라현 나라시(奈良市) 도기갑강정(都祁甲岡町)에서 1912년 묘지(墓誌) 3매가 출토되었고, 1951년에 발굴 조사가 재개되어 화장묘임이 확인되었다. 1969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동경국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묘지명은 금동제(金銅製)이며 명문은 아래와 같다.
左琴神龜六年二月九日
右京三條二坊従四位下小治田朝臣安萬侶大倭國山邊郡都家郷郡里崗安墓
神龜六年歳次己巳二月九日
右書神龜六年二月九日
현재 나라현 나라시(奈良市) 도기갑강정(都祁甲岡町)에서 1912년 묘지(墓誌) 3매가 출토되었고, 1951년에 발굴 조사가 재개되어 화장묘임이 확인되었다. 1969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동경국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묘지명은 금동제(金銅製)이며 명문은 아래와 같다.
左琴神龜六年二月九日
右京三條二坊従四位下小治田朝臣安萬侶大倭國山邊郡都家郷郡里崗安墓
神龜六年歳次己巳二月九日
右書神龜六年二月九日
2. 동상(同上)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앞의 「전중조신」 조와 같이 ‘무내숙녜오세손도목숙녜지후야(武內宿禰五世孫稻目宿禰之後也).’라는 문장이 적혀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앞의 「전중조신」 조와 같이 ‘무내숙녜오세손도목숙녜지후야(武內宿禰五世孫稻目宿禰之後也).’라는 문장이 적혀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3.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소간전신(小墾田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소간전신(小墾田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