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전중조신(田中朝臣; 다나카노아소미)

전중조신(田中朝臣; 다나카노아소미)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5세손 도목숙녜(稻目宿禰; 이나메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전중조신(田中朝臣)
전중조신의 전중(田中; 다나카)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의 전중(田中; 다나카)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강원시(橿原市) 전중정(田中町) 일대이다. 『일본서기』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전중신(田中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전중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에 의하면 추고천황 31년(623) 시세조의 탕목령(湯沐令) 전중신(田中臣), 천무천황 원년(672) 6월 갑신조의 전중신족마려(田中臣足麻呂)와 천무천황 10년(681) 12월 계사조의 소금하(小錦下, 664~685년에 사용된 관위 26계 중 12위)전중신단사(田中臣鍛師)를 들 수 있다.
전중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문무천황 2년(698) 6월 정사조에 직광삼(直廣參, 관위 48계 중 14위) 전중조신족마려(田中朝臣足麻呂)가 임신년의 공으로 직광일(直廣壹)에 추증되었다. 천평 8년(736) 정월 신축조에는 외종5위하(極位)로 비후수(肥後守)를 역임한 전중조신삼상(田中朝臣三上)이 보인다. 보귀(寶龜) 9년(778) 정월 무술조에는 우대변(右大弁) 정4위하로 죽은 전중조신다태마려(田中朝臣多太麻呂), 보귀 11년(780) 3월임오조에는 종5위하(극위)로 축후수(筑後守) 등에 보임된 전중조신반마려(田中朝臣飯麻呂)가 있다. 『일본후기』 대동(大同) 원년(806) 4월 을사조에는 종5위하(극위) 전중조신팔월마려(田中朝臣八月麻呂)가 우위사좌(右衛士佐) 겸 월후수(越後守)에 임명된 기사가 보인다. 『속일본후기』천장(天長) 10년(833) 5월 갑오조에는 좌위문소위(左衛門少尉) 정6위상 전중조신허려계(田中朝臣許侶繼)가 종5위하로 승진한 기록이 보이고, 승화(承和) 원년(834) 정월 계해조에는 종5위하(극위) 전중조신허려계가 좌위문권좌(左衛門權佐)에 임명된 기록이 보인다.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観) 원년(859)3월 26일 임오조에는 무위(無位)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전중조신보자(田中朝臣保子)가 보이고, 정관 18년(876) 11월 무술 25일조에는 정5위하(극위)로 승진한 것으로 적혀 있다.
2.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효원천황단(孝元天皇段)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 다케우치노스쿠네)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효원의 증손자로 경행(景行) 대에 출생하여 성무(成務) 대에 대신의 지위에 올랐으며 중애(仲哀)를 거쳐 신공(神功), 응신(應神), 인덕천황(仁德天皇) 대까지 활약한 인물로 기재되어 있다.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무내숙녜 참조.
3. 도목숙녜(稻目宿禰)
『일본서기』에서 소아마자(蘇我馬子)의 아버지로 나오며 선화(宣化), 흠명조(欽明朝)에 대신(大臣)을 지낸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도래계이므로 무내숙녜에 계보를 연결하여 의제적 동족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좌경 황별(상) 「앵정조신(櫻井朝臣)」 조(067) 도목숙녜대신(稻目宿禰大臣) 참조.
4.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전중신이 조신(朝臣)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전중조신(田中朝臣; 다나카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