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평군조신(平群朝臣; 헤구리노아소미)

평군조신(平群朝臣; 헤구리노아소미)
 석천조신(石川朝臣; 이시카하노아소미)과 씨가 같으며 무내숙녜(武內宿禰)의 아들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평군조신(平群朝臣)
평군조신의 평군(平群; 헤구리)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대화국(大和國) 평군군(平群郡) 평군(平群; 헤구리)향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생구군(生駒郡) 평군정(平群町) 일대에 해당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평군신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평군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웅략(雄略) 즉위전기(卽位前紀) 11월 갑자조의 평군신진조(平群臣眞鳥)가 보인다. 그리고 『일본서기』에는 추고조(推古朝) 전후에 평군씨 일족이 소아씨(蘇我氏)와 함께 물부토벌군(物部討伐軍)에 참가하거나 정신라군(征新羅軍)의 장군으로 등장하는 등 소아씨 휘하에서 군사적으로 활약한 기록이 보인다. 숭준(崇峻)즉위전기(587년)에 물부대련수옥(物部大連守屋)의 모반을 토벌하여 숭준천황의 즉위에 공을 세운 장군으로 등장하는 평군신신수(平群臣神手)는 평군목토숙녜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인물이다. 따라서 평군목토숙녜가 평군신수를 과거에 투영한 가상의 인물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 추고 31년(623) 시세조의 평군신우지(平群臣宇志), 대화(大化)2년(646) 3월 신사조의 이름이 빠진 평군신(平群臣), 천무천황 10년(681) 3월 무술조의 평군신자수(平群臣子首) 등을 들 수 있다.
평군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續日本紀)』 화동(和銅) 7년(714) 10월 정묘조에 미장수(尾張守)에 보임된 종5위상 평군조신안마려(平群朝臣安麻呂)가 영귀(靈龜) 원년(715)4월 병자조에는 정5위하(極位)로 승진한 기록이 보인다. 천평(天平) 3년(730) 정월 병자조에 종5위하에서 정5위상(극위)으로 승진한 평군조신풍마려(平群朝臣豐麻呂), 신호경운(神護景雲) 2년(768) 10월 계축조에 종5위하에서 종5위상(극위)으로 승진한 평군조신진계(平群朝臣眞繼), 보귀(寶龜) 5년(774) 2월 병신조에 정7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평군조신야수(平群朝臣野守)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 평군조신읍도자(平群朝臣邑刀自)는 『속일본기』 보귀 7년(776) 정월 병신조에 무위에서 종5위상으로 승진한 인물로, 『일본후기(日本後紀)』 일문(逸文) 연력(延曆) 20년(801) 6월 정사조에는 정4위상(극위)으로 대화국(大和國) 도(稲) 1,000속(束)을 상으로 받았다고 적혀 있다. 상을 내린 이유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일본후기(日本後紀)』 대동(大同) 원년(806) 2월 경술조에는 준인정(隼人正)에 보임된 종5위하(극위) 평군조신가세마려(平群朝臣加世麻呂)가 보이고,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천안(天安) 원년(857) 정월 정미조의 정7위상에서 외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평군조신진종(平群朝臣眞宗) 등이 있다.
2. 석천조신동씨(石川朝臣同氏)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석천조신동조(石川朝臣同祖)’라고 기재되어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그러나 동씨(同氏)는 씨가 같은 것이고 동조(同祖)는 조상이 같은 것을 나타내므로 구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3. 무내숙녜(武內宿禰)
『일본서기』에는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로 기재되어 있다. 경행(景行), 성무(成務), 중애(仲哀), 응신(應神), 인덕(仁德)의 5대에 걸쳐 천황에게 봉사한 전설상의 충신이다. 자세한 내용은 좌경 황별(상) 「전중조신」 조(66) 무내숙녜대신 참조.
4.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평군도구숙녜는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와 같은 인물이다. 『고사기』에서는 무내숙녜의 아들인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로 나오며 평군씨의 조상이다. 『고사기』 이중천황단(履中天皇段)에 의하면 주길중황자(住吉仲皇子) 모반 사건 때 이중천황을 구출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서는 평군목토숙녜 이후 5세기 중후반 웅략조(雄略朝)부터 인현조(仁賢朝)에 걸쳐 대신(大臣)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추고조 전후부터는 소아씨 아래에 배치되고 있다. 평군씨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평군곡(平群谷)고분군의 축조 연대가 6세기 중엽 이후로 추정된다.
5.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평군신이 조신 성을 받은 사성 기사와 일치한다는 의미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평군조신(平群朝臣; 헤구리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