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팔다조신(八多朝臣; 하타노아소미)

팔다조신(八多朝臣; 하타노아소미)
 석천조신(石川朝臣; 이시카하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무내숙녜명(武內宿禰命; 다케시우치노스쿠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합치된다.
 
【주석】
1. 팔다조신(八多朝臣)
팔다(八多; 하타)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추고천황(推古天皇) 20년(612) 2월 경오조에 우전(羽田; 하타)에 모여 열을 지어 조정에 참배하였다는 기사에 등장하는 ‘하타’라는 지명에서 유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율령제 대화국(大和國)의 고시군(高市郡) 파다향(波多郷)에 해당된다. 현재 나라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고취정(高取町) 지역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는 파다신(波多臣; 하타노오미) 등 52씨가 조신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팔다는 파다(波多; 하타), 우전(羽田; 하타)으로도 표기된다.
파다신(波多臣) 일족으로는 『일본서기』에 추고 31년(623) 시세조의 소덕 파다신광정(波多臣廣庭)과 대화(大化) 2년(646) 3월 신사조의 이름이 빠진 우전신(羽田臣)이 있다.
파다조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지통천황(持統天皇) 3년(689) 6월 계미조의 직광사(直廣肆) 우전조신제(羽田朝臣齊)가 있다. 『속일본기』에는 경운(慶雲) 원년(704) 8월 병진조의 견신라사 종5위상(극위) 파다조신광족(波多朝臣廣足), 경운 2년(705) 12월 계유조의 종6위하(극위) 파다조신광마려(波多朝臣廣麻呂), 천평(天平) 6년(734) 정월 기묘조의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파다조신안마려(波多朝臣安麻呂), 천평보자(天平寶字) 7년(763) 정월 임자조의 종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파다조신남족(波多朝臣男足) 등이 있다. 그리고 「천평 5년(733) 우경계장(天平五年 右京計帳)」 에는 팔다조신택수(八多朝臣宅守)를 비롯한 20여 명의 팔다조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觀) 6년(864) 8월 8일 임술조에는 우경인(右京人) 외종5위하 강옥공조대(岡屋公祖代)가 팔다조신(八多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는 기록이 보이고, 동 11년(869) 12월 8일 신묘조에는 우경인 무위(無位) 강옥공정개(岡屋公貞介)와 강옥공정간(岡屋公貞幹)이 팔다조신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2. 석천조신(石川朝臣)
석천(石川)이라는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석천(石川) 일대에 대화천(大和川)과 합류하는 석천이 흐르고 있어 하천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우예야시(羽曳野市) 부전림시(富田林市)와 하내장야시(河內長野市) 일대이다.
석천조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4년(685) 9월 무오조의 직광사(直廣肆) 석천조신충명(石川朝臣虫名)을 비롯하여 『속일본기』 문무천황(文武天皇) 2년(702) 7월 계미조에 직광사로 미농수(美濃守)에 보임된 직광사의 석천조신소로(石川朝臣小老)가 보인다. 천평(天平) 원년(729) 8월 정묘조에는 좌대변(左大辨) 종3위(극위) 석천조신석족(石川朝臣石足)의 훙전(薨傳)이 실려 있고, 천평보자(天平寶字) 6년(762) 9월 을사조에는 어사대부(御史大夫) 정3위 겸 문부경(文部卿) 신기백(神祇伯) 훈(勳) 12등 석천조신년족(石川朝臣年足)의 훙전이 실려 있다.
석천조신은 원래 소아신(蘇我臣)에서 분화된 씨족이다. 그 뒤 소아신씨의 시조가 소아석하숙녜(蘇我石河宿禰)로 전하며, 그는 무내숙녜(武內宿禰)의 아들로 하내국 석천 별업(別業)에서 태어났으므로 석천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종아(宗我, 蘇我)의 큰 집을 거처로 주고 종아숙녜(宗我宿禰)라는 씨성을 받아 소아석하숙녜가 되었다(『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원경(元慶) 원년(877) 12월 27일 계사조). 『일본서기』 민달(敏達)13년(584) 시세조(是歲條)에 소아마자숙녜(蘇我馬子宿禰)가 석천의 저택에 불전을 만드니 불법의 단서가 이로부터 만들어졌다고 하며, 소아마자(蘇我馬子)도 석천에 저택을 가지고 있는 등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소아신이 석천조신으로 씨명을 바꾼 것은 임신(壬申)의 난 당시 소아신적형(蘇我臣赤兄)과 소아신과안(蘇我臣果安)이 천지천황(天智天皇)의 아들인 대우황자(大友皇子) 측에 가담한 사실과 천무천황 10년(681) 3월에 제기(帝紀) 및 상고제사(上古諸事)를 기록하도록 한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천무 진영에 맞섰던 조상들의 씨명을 그대로 쓰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3. 무내숙녜명(武內宿禰命)
『일본서기』에는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로 기재되어 있다. 경행천황(景行天皇) 대에 출생하여 성무천황(成武天皇) 대에 대신(大臣)의 지위에 올랐으며, 중애천황(仲哀天皇)을 거쳐 신공(神功), 응신(應神), 인덕(仁德) 대까지 긴 기간 동안 활약한 인물로 전하고 있다. 『공경보임(公卿補任)』에 나이 295세, 관직에 있던 기간이 244년이라고 할 정도로 장수한 인물로 나타나 의문스러운 점이 많다. 자세한 내용은 좌경 황별(상) 「전중조신(田口朝臣)」 조(66) 무내숙녜대신(武內宿禰大臣) 참조.
4.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는 파다신(波多臣; 하타노오미) 등 52씨가 조신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팔다조신(八多朝臣; 하타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