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소규신(小槻臣; 오츠키노오미)

소규신(小槻臣; 오츠키노오미)
 수인천황의 황자 어지별명(於知別命; 오치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소규신(小槻臣)
소규라는 씨명은 율령제 근강국(近江國) 율태군(栗太郡)의 소규신사(小槻神社)가 있던 지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초진시(草津市) 청지정(靑地町) 일대에 해당된다. 『육국사』에 소규씨에게 신성이 내려진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소규신씨 일족은 여기에만 보인다. 소규신씨와 동족이라 여겨지는 씨족으로는 소규산군(小槻山君; 오츠키야마노키미)씨가 있다. 소규씨 가운데 산림의 관리를 담당한 직장(職掌)에 의거하여 소규산군이나 소규산공(小槻山公; 오츠키야마노키미)이라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규산군(공)씨로는 「천평 8년(736) 8월 26일 내시사첩(天平八年八月二十六日付 內侍司牒)」(『대일본고문서』 2-8)에 기재된 율태(栗太) 채녀 소규산군광충(小槻山君廣虫)을 들 수 있다. 근강국 율태군의 채녀(采女)로 조정에서 봉사한 것으로 보인다. 『속일본기』 천평 9년(737) 2월 무오조에는 소규산군광충이 정8위하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기사가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정관(貞觀) 17년(873) 12월 27일 병자조에는 근강국 율태군 사람 정6위상 행좌소사(行左少史) 겸 박사(博士) 소규산공금웅(小槻山公今雄)과 주계사(主計師) 대초위하(大初位下) 소규산공유서(小槻山公有緒) 등이 좌경 4조 3방으로 본거를 옮긴 기록이 보인다.
2. 수인천황(垂仁天皇)
『일본서기』에는 수인천황이 제11대 천황이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존 여부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고사기(古事記)』 숭신천황단에는 이구미입일자이사지명(伊玖米入日子伊沙知命; 이쿠메이리히코이사치노미코토), 수인천황단에서는 이구미이리비고이좌지명(伊玖米伊理毗古伊佐知命; 이쿠메이리비코이사치노미코토)이라고 적혀 있다. 『신찬성씨록』완본에는 ‘수인’ 앞에 ‘활목입언오십협모천황시(活目入彦五十狹茅天皇諡)’라는 11글자가 있고 ‘수인’ 다음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3. 어지별명(於知別命)
어지별명은 『일본서기』 수인천황 34년 3월 병인조에는 조별명(祖別命; 오호치와케노미코토)이라고 적혀 있고, 『고사기』 수인천황단에는 ‘낙별왕(落別王; 오치와케노오우)’이라 기재되어 있다. 또 낙별왕은 소월지산군(小月之山君; 오즈키노야마노키미)과 삼천지의(三川之衣; 미카하노코로모노키미)의 선조라고 기재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규신(小槻臣; 오츠키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