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도성임생공(稻城壬生公; 이나키노미부노키미)

도성임생공(稻城壬生公; 이나키노미부노키미)
 수인천황(垂仁天皇; 스이닌텐노)의 황자 탁석별명(鐸石別命; 누테시아케노미코토)에서 나왔다.
 
【주석】
1. 도성임생공(稻城壬生公)
도성임생공의 도성(稻城; 이나키)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미장국(尾長國) 단우군(丹羽郡)도목(稻木; 이나키)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애지현(愛知縣)강남시(江南市) 일대에 해당된다. 임생은 임생부(壬生部; 미부베)의 반조였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도성임생공(稻城壬生公) 일족은, 『평안유문(平安遺文)』(1-61)에 수록된 「승화 8년(841)10월 9일자 석천종익가지매권(石川宗益家地賣券)」에 좌경(左京) 6조 3방의 호주(戶主)정6위상 도성임생공경(稻城壬生公鯨), 도성임생공강착(稻城壬生公綱縒), 도성임생공강취(稻城壬生公綱取), 도성임생공진강(稻城壬生公眞綱)이라는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2. 수인천황(垂仁天皇)
『일본서기』에서 수인천황은 제11대 천황이다. 『고사기(古事記)』 숭신천황단에는 이구미입일자이사지명(伊玖米入日子伊沙知命; 이쿠메이리히코이사치노미코토), 수인천황단에서는 이구미이리비고이좌지명(伊玖米伊理毗古伊佐知命; 이쿠메이리비코이사치노미코토)이라고 적혀 있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수인’ 앞에 ‘활목입언오십협모천황시(活目入彦五十狹茅天皇諡)’라는 11글자가 있고 ‘수인’ 아래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3. 탁석별명(鐸石別命)
탁석별명(鐸石別命; 누테시와케노미코토)은 수인천황의 아들이다. 『일본서기』 수인천황 15년 8월 임오삭조에는 “왕비인 정엽전경입원(渟葉田瓊入媛; 누바타니이리비메)은 탁석별명(鐸石別命; 누테시와케노미코토)과 담향족희명(膽香足姬命; 이카타라시히메노미코토)을 낳았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고사기』 수인천황단에는 “빙우주비매명(冰羽州比賣命; 하비스히메노미코토)의 아우 소우전지입비매명(沼羽田之入毘賣命; 누바타노이리비메노미코토)과 혼인하여 소대별명(沼帯別命; 누타라시와케노미코토)을 낳았다”라고 적혀 있어 소대별명이 언급되고 있다. 『일본후기』 연력 18년 2월 을미조에는 화기청마려(和氣淸麻呂)의 출자를 설명하면서 수인천황의 황자 탁설별명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고, 『신찬성씨록』 좌경 황별(하)의 「화기조신(和氣朝臣)」 조에는 수인천황의 황자 탁석별명의 후손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섭진국 황별의 「산변공」 조에도 화기조신과 조상이 같으며 대탁석화거명(大鐸石和居命; 오누데시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라고 적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도성임생공(稻城壬生公; 이나키노미부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