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망공(大網公; 오요사미노키미)

대망공(大網公; 오요사미노키미)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6세손 하모군나량(下毛君奈良; 시모쓰케노노키미나라)의 아우 진약군(眞若君; 마와카노키미)의 후손이다.
 
【주석】
1. 대망공(大網公)
대망(大網; 오요사미)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섭진국 주길군(住吉郡)의 대라(大羅; 오요사미)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시(大阪市) 동주길구(東住吉區) 아손자정(我孫子町)·정정정(庭井町), 송원시(松原市) 천선정(天善町) 일대이다.
대망[大羅] 일족으로는 보귀(寶龜) 2년(771) 3월 25일 봉사일체경소해(奉寫一切經所解)」 (『대일본고문서』 6-131)에대라도수(大羅島守)라는인물이보인다. 대라도수는신호경운(神護慶雲) 4년(770) 「봉사일체경료정의용장(奉寫一切經料淨衣用帳)」 (『대일본고문서』6-14)에서는 대편도수(大編島守), 보귀 2년(771) 「봉사일체경경사질상수실장(奉寫一切經經師帙上手實帳)」(『대일본고문서』 18-524)과보귀 5년(774) 12월 1일자 「대망도수월차전해(大網島守月借錢解)」(『대일본고문서』 23-180)에서는 대망도수(大網島守)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대라(大羅)는 대편(大編), 대망(大網)으로도 표기됨을 알 수 있다. 대망공씨는 주길군 대라를 본거로 한 씨족일 것이다.
대망공 일족으로는 『만엽집(萬葉集)』(3-413)의 대망공인주(大網公人主)가 보이고, 『속일본기』에는 대망공광도(大網公廣道)가 보귀(寶龜) 9년(778) 12월 기축조에 기재된 정6위상으로 송고려객사(送高麗客使)를 지내고, 연력(延曆) 8년(789) 3월 무오조에 외종5위하(극위)로 주계조(主計助)를 역임한 기록이 보인다. 또 『일본후기』 홍인(弘仁) 6년(815) 정월 경진조에는 무위(無位)에서 외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대망공도도자(大網公島刀自)가 있다.
2. 상모야동조(上毛野同祖)
대망공(군)씨가 원래 전변사씨(田邊史氏)였던 상모야조신씨와 조상이 같다고 칭한 것은, 대망군광도가 상모야군씨와 지원군씨 등 상모야조신씨의 동족이라 칭하는 사람들과 함께 경전의 교감을 행한 것으로 보더라도 분명하다(관련 내용은 아래 표 참조). 또한 아래 표의 1과 3에 보이는 경전발어에 나오는 상모야군립마(마려)는 좌경 황별(하) 상모야조신조의 전변사에 관한 설명에 기재했듯이 그 옛 성이 전변사이고, 4에 보이는 지원군화수는 좌경 황별(하)의 「주길조신」 조(100)의 상모야동조를 설명하면서 그 옛 성이 상모야군임을 살펴보았다. 또 대망군씨도 상모야군, 전변사씨와 깊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된다.
순서전거씨성명
1『영락유문(寧樂遺文)』 (下-624)에 수록
「천평승보 7년 6월 21일감(天平勝寶七歲六月二十一日勘)」 『대위덕다라니경(大威德陀羅尼經)』 17 발어(跋語)
상모야군립마(上毛野君立麿)
대망군광도(大網君廣道)
전변사인도(田邊史人道)
2『영락유문』 (하-625)에 수록
「천평승보 8년 4월 20일교(天平勝寶八歲四月二十日校)」『승가타경(僧伽吒經)』 2 발어(跋語)
대망군광도(大網君廣道)
전변사인도(田邊史人道)
3『영락유문』 (하-625~626)에 수록
「천평승보 8년 4월 20일감(天平勝寶八歲四月二十日勘)」 『대위덕다라니경(大威德陀羅尼經)』 10 발어(跋語)
상모야군립마려(上毛野君立麻呂)
전변사인도(田邊史人道)
대망군광도(大網君廣道)
4『영락유문』 (하-626)에 수록
「천평승보 9년 6월 3일 봉사(天平勝寶九歲六月三日奉寫)」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10 발어(跋語)
지원군화수(池原君禾守)
전변사인도(田邊史人道)
대망군광도(大網君廣道)
5『영락유문』 (하-626)에 수록
「천평보자 원년 윤8월 20일감(天平寶字元年閏八月二十日勘)」 『중아함경(中阿含經)』 9 발어(跋語)
상모야군립마려(上毛野君立麻呂)
전변사인도(田邊史人道)
6『영락유문』 (하-626)에 수록
「천평보자 원년 윤8월 20일감(天平寶字元年閏八月二十日勘)」 『중아함경(中阿含經)』 9 발어(跋語)
상모야군대하(上毛野君大河)
대망군광하(大網君廣河)
대망군광도(大網君廣道)
7『영락유문』 (하-627)에 수록
「천평보자 원년 윤8월 25일감(天平寶字元年閏八月二十五日勘)」 『중아함경(中阿含經)』 11 발어(跋語)
상모야군대하(上毛野君大河)
대망군광도(大網君廣道)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풍성입언명은 숭신천황의 아들로, 『고사기』 숭신천황단과 『일본서기』 숭신천황 48년 4월무신삭 병인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과 하모야군(下毛野君)의 시조라고 기술되어 있다. 풍성입언명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하)의 「하모야조신」 조(097) 풍성입언명 참조.
4. 하모군나량(下毛君奈良)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국조본기(國造本紀) 하모야국조(下毛野國造)조에는 “난파고진조(難波高津朝, 인덕천황) 때 모야국(毛野國)이 상하로 분리되었다. 풍성명 4세손 나량별(奈良別)이 처음으로 국조가 되었다.”라고 적혀 있다. 길미후부(吉彌候部)조에서는 “풍성입언명 6세손 나량군 후세(後世)”라고 적고 있다. 본조와 길미후부조는 모두 나량을 풍성입언명의 6세손이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국조본기에서는 4세손이라 전하고 있다. 세대수는 다르게 기록되어 있지만 하모군나량, 나량군과 나량별은 동일인물인 듯하다.
5. 진약군(眞若君)
우경 황별(상) 「수수공(垂水公)」 조에는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4세손 하표내진치명(賀表乃眞稚命; 가호노마와카노미코토)의 후손”이라고 적혀 있다. 하표내진치명과 진약군(眞若君; 마와카노키미)은 동일 인물로 간주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망공(大網公; 오요사미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