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지전조신(池田朝臣; 이케타노아소미)

지전조신(池田朝臣; 이케타노아소미)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10세손 좌태공(佐太公; 사타노미키미)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일치한다.
 
【주석】
1. 지전조신(池田朝臣)
지전(池田)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상야국(上野國) 나파군(那波郡) 지전(池田; 이케타)이라는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은 현재 군마현(群馬縣) 이세기시(伊勢崎市) 서남부 지역에 해당된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지전조신 등 모두 52씨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주었다”라고 적혀 있다.
지전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續日本紀)』 화동(和銅) 4년(711) 4월 임오조에 정6위하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지전조신자수(池田朝臣子首), 천평보자(天平寶字) 7년(763) 4월 정해조에 종5위하(극위) 지전조신족계(池田朝臣足繼)가 좌소변(左少弁)에 보임된 기록이 보인다. 또 연력(延曆) 8년(789) 9월 무오조의 진수부장군(鎭守副將軍) 종5위하(극위) 지전조신진매(池田朝臣眞枚)가 보인다. 『일본후기(日本後紀)』 홍인(弘仁) 원년(810) 9월 임술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지전조신번자(池田朝臣幡子),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천안(天安) 2년(858) 정월 신축조의 종5위하(극위)에 서위된 지전조신택계자(池田朝臣宅繼子) 등이 있다. 고문서에는 천평(天平)17년(745) 4월 20일자 「소부사해(掃部司解)」 (『대일본고문서』 2-415)의 지전조신하내마려(池田朝臣河內麻呂), 천평 20년(748) 10월 27일자 「태정관부안(太政官符案)」 (『대일본고문서』 24-525)의 지전조신족상(池田朝臣足床), 천평 20년 11월 10일자 「소치전등마려해(小治田藤麻呂解)」(『대일본고문서』 3-135)의 지전조신택지매(池田朝臣宅持賣) 등이 보인다.
2. 상모야조신동조(上毛野朝臣同祖)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을 비롯한 52씨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좌경 황별(하)의 상모야조신은 홍인 원년(810)에 조신 성을 받은 씨족으로 본류 씨족이 아니다.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원경(元慶) 원년(877) 12월 25일자 신묘조에서는 “상모야(上毛野), 대야(大野), 지전(池田), 좌미(佐味), 거지조신(車持朝臣) 등이 조상이 같다”라고 적고 있다.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토노미코토)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전해지는 제10대 숭신천황(崇神天皇)의 황자이다. 『일본서기』에는 풍성입언명, 풍성명(豐城命), 『고사기』에는 풍목입일자명(豐木入日子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고사기』 숭신천황단과 『일본서기』 숭신천황 48년 4월 무신삭 병인조에서 상모야군(上毛野君)과 하모야군(下毛野君)의 시조라고 기술되어 있다.
4. 좌태공(佐太公)
좌경 황별(하) 「상모야판본조신」 조에도 풍성입언명 10세손 좌태공(佐太公)이 보인다.
5.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지전조신 등 모두 52씨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주었다.”라고 적혀 있는 사성 기사를 가리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지전조신(池田朝臣; 이케타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