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역정신(櫟井臣; 이치히위노오미)

역정신(櫟井臣; 이치히위노오미)
 화안부(和安部; 야마토노아헤)와 조상이 같으며, 언로진명(彦姥津命; 히코오케츠노미코토)의 5세손 미병용대사주명(米餠舂大使主命; 다카네츠키노오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역정신(櫟井臣)
역정(櫟井; 이치히위)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윤공(允恭) 7년 12월 임술삭조에 기재된 왜(倭; 야마토)의 춘일(春日; 가스가) 역정(櫟井; 이치히위)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율령제 대화국(大和國) 첨상군(添上郡) 역정 지역으로, 현재 나량현(奈良縣) 천리시(天理市) 역정본(櫟本町) 부근에 해당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역정신 등 모두 52씨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주었다.”라고 적혀 있다.
역정신 일족으로는 천평승보 2년(750) 8월 「경사상일장(京師上日帳)」(『대일본고문서』3-432)에 보이는 역정신마양(櫟井臣馬養; 이치히위노우마카이)가 있다. 마양은 경사(京師)로서 『정창원문서』에 여러 차례 보이는데, 그 대부분에 성이 기재되지 않은 채로 역정마양이나 역정마감(櫟井馬甘; 이치히위노우마카이)이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천평 18년(746) 5월 「후일체경교장(後一切經校帳)」(『대일본고문서』24-350)에 보이는 역정군마려(櫟井君麻呂)와 천평보자 6년(761) 12월 「이부반야전용장(二部般若錢用帳)」(『대일본고문서』 5-317)에 보이는 역정남공(櫟井男公) 등 무성으로 나오는 사람도 신성의 역정씨일 가능성이 있다.
역정조신 일족으로는 좌경에 거주한 인물은 보이지 않지만, 산배국 사람은 보인다. 천평 5년(733) 「산배국애탕군계장(山背國愛宕郡計帳)」 (『대일본고문서』 1-509)에 역정조신우감(櫟井朝臣牛甘)과 역정조신도자매(櫟井朝臣刀自賣), 역정조신내등매(櫟井朝臣奈等賣) 등이 기재되어 있다.
2. 화안부동조(和安部同祖)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서는 ‘화안부(和安部)’ 다음에 ‘조신(朝臣)’이라는 2글자가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화이부씨계도」 에서는 춘일조신씨의 조상인 인화신의 아들로 모구신(矛久臣)과 강상신(岡上臣)을 들고, 강상신의 아들인 야의신(野依臣)을 소야조신의 조상이라 하고 그 아우 진번신(津幡臣)의 보문에 역정신(櫟井臣)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평안유문(平安遺文)』(1-318)에 수록된 연희(延喜) 11년(792) 4월 11일자 「동대사상좌경찬추상(東大寺上座慶贊愁狀)」에 첨상군(添上郡) 춘일(春日) 지역의 토지 매매 문서에 서판(署判)한 도녜(刀禰) 역정석웅(櫟井石雄)과 화이부복부(和邇部複富), 화이부정심(和邇部貞心)이 보인다. 이는 화이부씨와 함께 역정씨가 첨상군 춘일 지역에서 세력을 보유하였음을 나타낸다.
3. 언로진명(彦姥津命)
『일본서기』 개화천황(開化天皇) 6년 정월 갑인조에는 “화이신(和珥臣; 와니노오미)의 먼 조상 노진명(姥津命; 하하츠노미코토)의 누이 노진원(姥津媛; 하하츠노히메)은 언좌왕(彦坐王; 히코이마스노미코)을 낳았다.”라고 적혀 있다. 앞의 좌경 황별(상) 「소야조신」 조(088) 언로진명 참조
4. 미병용대사주명(米餠舂大使主命)
미병용대사주명에 대해서는 「소야조신」 조(088) 미병용대사주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역정신(櫟井臣; 이치히위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