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다조신(多朝臣; 오호노아소미)

다조신(多朝臣; 오호노아소미)
 시호 신무(神武; 진무)의 황자(皇子)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 가무야위미미노미코토)의 후손으로부터 나왔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다조신(多朝臣)
다(多; 오호)라는 씨명은 태(太; 오호) 혹은 의부(意富; 오호)라고도 표기하며, 율령제하의 대화국(大和國) 십시군(十市郡) 어부향(飫富鄕; 오호)이라는 지명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다조신의 원래 성은 신(臣)이었는데, 『일본서기』 천무 13년(685) 11월 무신삭조에 다신(多臣) 등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였다.
다신 일족으로는 다신장부(多臣蔣敷, 『일본서기』제명천황 7년 9월조), 다신품치(多臣品治, 『일본서기』 천무천황 원년 6월 임오조 등)가 있고, 조신 성을 받은 이후로는 태조신안마려(太朝臣安麻呂, 『속일본기』 경운 원년 정월 계사조 등), 태조신원건치(太朝臣遠建治, 『속일본기』 화동 7년 12월 무오조), 태조신국길(太朝臣國吉, 『속일본기』 천평 9년 9월 기해조 등), 태조신덕족(太朝臣德足, 『속일본기』 천평 17년 정월 을축조 등), 다조신견양(多朝臣犬養, 『속일본기』 천평신호 원년 3월 정미조 등), 다조신풍인(多朝臣豐人, 보귀 7년 5월 10일자 「소야천근계(小野川根啓)」, 『대일본고문서』 25-361), 다조신응양(多朝臣鷹養, 천평승보 8년 10월 3일 이후 「쌍창북잡물출용장(雙倉北雜物出用帳)」, 『대일본고문서』 4-200 등), 다조신입록(多朝臣入鹿, 『일본후기』 연력 24년 11월 무자조 등), 다조신인장(多朝臣人長, 『일본후기』 대동 3년 11월 갑오조 등) 등이 있다.
그 일족 중에서 태조신안마려는 『고사기』 의 편찬자로 저명한 인물이며 나량시(奈良市) 차뢰정(此瀨町) 전원(田原)에서 “좌경(左京) 4조 4방 종4위하 훈5등(勳五等) 태조신안만려가 계해년 7월 6일에 죽었다. 양로(養老) 7년(723) 12월 15일.”이라는 내용의 묘지가 발견되었다. 구안(久安) 5년(1149) 3월 13일자 「다신궁주진장(多神宮注進帳)」 에는 태안마려(太安麻呂)가 다품치(多品治)의 아들인데 원래의 씨명으로 고쳐 다(多)를 태(太)로 고쳤으며, 칙명으로 편찬하게 된 『고사기』 3권을 바쳤다는 내용이 보인다.
또한 『아소가략계보(阿蘇家略系譜)』에는 신팔정이명에서 안마려에 이르는 다음과 같은 계보가 기록되어 있다. ‘신일본반여언천황(神日本磐餘彦天皇, 신무천황)-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언팔정이명(彦八井耳命)-무우도언명(武宇都彦命)-부항언명(敷桁彦命)-무혜하전명(武惠賀前命)-무제목명(武諸木命)-무인응명(武忍凝命)-무상견족니신(武裳見足尼臣)-도견신(稻見臣, 혹은 稻箕臣)-모건신(毛建臣)-석지신(石持臣)-풍인신(豐忍臣)-우기고신(宇氣古臣)-품치(品治)-안만려(安萬侶).’ 안만려의 형제로 도마려(道麻呂), 택성(宅成), 원건치(遠建治)가 병기되어 있다. 안만려에 대해서는 민부경(民部卿) 종4위하이며 화동(和銅) 5년(712) 정월에 『고사기』 를 헌상하였으며 양로 7년(723) 7월 경오에 죽었다고 하였다.
2.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
『고사기』 신무천황단에 신팔정이명은 의부신(意富臣) 등의 시조라고 하였고, 『일본서기』 수정천황(綏靖天皇) 즉위전기에 반심을 품은 배다른 형인 수연이명(手硏耳命)을 신팔정이명이 아우인 신정명천이존(神渟名川耳尊)과 함께 죽이고자 하였으나, 신팔정이명이 차마 죽이지 못하자 아우가 형의 활을 빼앗아 수연이명을 쏘아 죽이고 결국 천황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는 내용이 보인다.
3.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1월 무신조에 다신(多臣) 등에게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하사한 내용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다조신(多朝臣; 오호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