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각조신(角朝臣; 츠노노아소미)

각조신(角朝臣; 츠노노아소미)
 기조신(紀朝臣; 기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기각숙녜(紀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각조신(角朝臣)
각(角)이라는 씨명은 각국(角國, 都怒國; 츠노노쿠니)에서 유래한 것이다. 각국은 후에 주방국(周防國) 도농군(都濃郡)이 되었으며 현재의 산구현(山口縣) 도농군(都濃郡; 츠노군)에 해당한다. 『일본서기』 웅략(雄略) 9년 5월조에 의하면, 소록화숙녜(小鹿火宿禰)가 기소궁숙녜(紀小弓宿禰)의 상여를 따라왔다가 혼자 각국(角國)에 머무르면서 왜자련(倭子連)이라는 사람을 보내어 팔지경(八咫鏡)을 대반대련(大伴大連)에게 바치고, 자신은 기경(紀卿, 紀大磐宿禰)과 더불어 천조(天朝)를 받들어 섬길 수 없으므로 각국에 머물도록 해 달라고 하였고, 대반대련이 이를 아뢰어 각국에 머물게 되었다. 그래서 각신(角臣)이라고 이름하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 『선대구사본기』 국조본기(國造本紀) 도노국조(都怒國造)조에서는 난파고진조(難波高津朝, 仁德) 때 기신(紀臣)과 조상이 같은 도노족니(都怒足尼, 紀角宿禰)의 아들 전도족니(田鳥足尼)를 국조(國造)로 정하였다고 하였다.
각조신(角朝臣)의 본래 씨성은 웅략 9년 5월조에 보이는 것처럼 각신(角臣)이었으며, 천무(天武) 13년(684) 11월 무신삭에 조신이라는 성을 내렸다. 각조신은 도노조신(都努朝臣)·도농조신(都濃朝臣)이라고도 표기하며, 그 일족으로는 도노조신우사(都努朝臣牛飼, 『일본서기』 천무 14년 5월 신미조 등), 각조신가주(角朝臣家主, 『속일본기』 양로 7년 정월 병자조 등), 각조신도수(角朝臣道守, 『속일본기』 천평 20년 정월 무인조 등), 각조신축자마려(角朝臣筑紫麻呂, 『속일본기』연력 8년 정월 기유조 등), 각조신광강(角朝臣廣江, 『속일본기』 연력 8년 정월 기사조), 도노조신복인(都努朝臣福人, 『속일본후기』 승화 7년 2월 임자조 등), 도노조신청정(都努朝臣淸貞, 『일본문덕천황실록』 천안 2년 정월 경자조 등) 등이 있다.
이들 일족 중에는 신라에 사신으로 파견된 인물이 적지 않다. 도노조신우사(都努朝臣牛飼)는 천무(天武) 13년(684) 4월에 견신라소사(遣新羅小使)로서 신라에 파견되었다가 다음해 5월에 귀국하였다(『일본서기』 천무 13년 4월 및 14년 4월조). 각조신가주(角朝臣家主)는 천평(天平) 4년(732) 정월에 견신라사(遣新羅使)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8월에 신라로부터 귀국하였다(『속일본기』 천평 4년 정월 갑자 및 8월 신사조). 이처럼 기씨는 한반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씨족이었다.
2. 기조신동조(紀朝臣同祖)
기조신의 시조는 기각숙녜(紀角宿禰)이다. 『고사기』 효원천황단(孝元天皇段)에서도 목각숙녜(木角宿禰)가 도노신(都奴臣; 츠노노오미)의 조상이라고 하였다. 다만 각조신의 직접적인 시조는 소록화숙녜(小鹿火宿禰)인데, 기각숙녜를 시조라고 하는 것은 당시의 동족 관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3. 기각숙녜(紀角宿禰)
기각숙녜는 「기조신」 조(068)의 기각숙녜 참조. 『선대구사본기』 국조본기에 보이는 전조족니(田鳥足尼)는 기각숙녜(紀角宿禰, 都怒足尼)의 아들인데, 『속일본기』에서는 기전조숙녜(紀田鳥宿禰)로 보인다(『속일본기』 연력 10년 12월 병신조). 관련 자료를 종합해 보면, 기각숙녜와 전도숙녜는 부자간이며, 소록화숙녜와 기대반숙녜는 기각숙녜의 손자임을 알 수 있다.
4.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웅략(雄略) 9년 5월조에 각신(角臣)은 처음에 각국(角國)에 거주하였으므로 이때부터 각신으로 이름하게 되었다고 하였고, 천무(天武)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각신에게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각조신(角朝臣; 츠노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