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좌좌귀산공(佐佐貴山公; 사사키야마노키미)

좌좌귀산공(佐佐貴山公; 사사키야마노키미)
 아배조신(阿倍朝臣; 아베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주석】
1. 좌좌귀산공(佐佐貴山公)
좌좌귀산(佐佐貴山) 자체가 씨명일 가능성이 있다. 원래 압반황자(押磐皇子)의 죽음과 관련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호족이었는데, 유골을 되찾은 일과 관련하여 공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사사키야마 전체가 지명이고 이것을 씨명으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이 압반황자의 능을 지키게 되면서 왕릉을 뜻하는 사사키 또는 사자키를 덧붙였을 수 있다.
좌좌기(佐佐貴; 사사키)는 왕릉을 뜻하는 사사키라는 용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협협성(狹狹城; 사사키)·좌좌기(佐佐紀; 사사키)라고도 표기하였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씨명 중의 산(山)은 원래 이 씨족이 산부(山部) 혹은 산수부(山守部)를 이끄는 반조씨족(伴造氏族)에서 유래하였기 때문으로 보았다. 다만 이때 산은 천황의 능을 뜻하는 산릉(山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서기』 현종(顯宗) 원년 5월에 한대숙녜(韓袋宿禰)가 압반황자의 살해에 연좌되므로 왕릉을 지키는 능호(陵戶)로 삼고 아울러 산을 지키게 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이때 왜대숙녜(倭袋宿禰)는 누이인 치목(置目)이 압반황자의 유골을 찾는 데 공을 세웠으므로 본성(本姓)인 협협성산군씨(狹狹城山君氏)를 받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고사기』안강천황단(安康天皇段)에서는 한대(韓袋)가 좌좌기산군(佐佐紀山君)의 조상이라고 하며, 왜대(倭袋)는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왜대가 시변왕(市邊王, 押磐皇子)을 죽였다는 내용도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일본서기』 의 왜대숙녜는 한대숙녜의 이름에 들어 있는 한(韓), 즉 한반도와 대비시켜 조작된 가공 인물로 볼 수 있다. 또한 『고사기』에서는 천한 노파가 시변왕의 유골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고 유골을 찾아서 능을 만들고 한대의 자식들에게 능을 지키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보이므로, 시변왕의 유골 발견과 능의 조영을 계기로 이에 도움을 준 한대 일족이 왕릉(사자키, 사사기)이라는뜻을 가진 씨명을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족으로는 『속일본기』에 좌좌귀산군친인(佐佐貴山君親人), 좌좌귀산군족인(佐佐貴山君足人), 좌좌귀산공인족(佐佐貴山公人足), 좌좌귀산공유기비(佐佐貴山公由氣比), 좌좌귀산공유하비(佐佐貴山公由賀比)가 보인다.
2. 아배조신(阿倍朝臣)
『일본서기』 효원천황(孝元天皇) 7년 2월 정묘조에 대언명(大彦命)이 아배신(阿倍臣)과협협성산군(狹狹城山君) 등 7씨족의 시조라는 내용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좌좌귀산공(佐佐貴山公; 사사키야마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