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죽전신(竹田臣; 다케타노오미)

죽전신(竹田臣; 다케타노오미)
 아배조신(阿倍朝臣; 아베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아들 무정천별명(武渟川別命; 다케누카하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죽전신(竹田臣)
죽전(竹田)은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에 보이는 대화국(大和國) 십시군(十市郡)의 죽전신사(竹田神社)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도 나량현(奈良縣) 강원시(橿原市) 동죽전정(東竹田町)에 죽전신사가 있다. 이곳은 대화삼산(大和三山)의 하나인 이성산(耳成山)에서 동북쪽으로 1.5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다.
죽전신 일족으로는 죽전신문계(竹田臣門繼, 782~855)와 죽전신전계(竹田臣田繼)가 있다. 문계는 홍인(弘仁) 4년(813) 정월 경오조에 청잠숙녜(淸岑宿禰)라는 씨성을 받았고,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3년(836) 윤5월 임신조에 조신(朝臣)으로 개성되었다. 문계는 상야개(上野介), 우마조(右馬助), 준하개(駿河介), 장문수(長門守), 전약두(典藥頭), 비후수(備後守), 봉전두(縫殿頭)를 역임하였으며, 관직을 그만둔 후에는 난파(難波)에 은거하였으며 제형(齊衡) 2년(855)에 죽었다.
일족 중에 죽전천계(竹田千繼) 역시 전약료(典藥寮)의 의생(醫生)으로 본초학(本草學)에 밝았던 것으로 전한다(『정사요략(政事要略)』 「지요잡사(至要雜事)」 「학교(學校)」). 의생은 약부(藥部)나 의술을 세습하는 집안의 자제를 먼저 충원하고 서인들 중에서는 13세 이상 16세 이하로서 총명한 자를 뽑도록 되어 있는데, 천계의 경우 17세에 입학한 것으로 보아 죽전신씨가 의술을 세습하는 집안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2. 아배조신(阿倍朝臣)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3. 대언명(大彦命)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대언명 참조. 『고사기』에서는 대비고명(大毘古命)으로보인다.
4. 무정천별명(武渟川別命)
무정천별명은 『고사기』 효원천황단(孝元天皇段)에 대비고명(大毘古命)의 아들이며, 아배신(阿倍臣) 등의 조상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숭신천황단(崇神天皇段)에 대비고명을 고지도(高志道)에 파견하고 아들인 건소하별명(建沼河別命; 다케누카하와케노미코토)을동방(東方) 12도에 보냈다는 내용이 보인다. 『일본서기』 숭신천황 60년 7월 기유조에 길비진언(吉備眞彦)과 무정하별(武渟河別; 다케누카하와케)을 보내 출운(出雲)의 진근(振根)을 주살하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수인천황(垂仁天皇) 25년 2월 갑자조에 아배신의 원조(遠祖)인 무정천별(武渟川別; 다케누카하노와케)이 5대부(大夫)의 한 사람으로 이름이 보인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국조본기(國造本紀)에서는 나수국조(那須國造)가 경행천황(景行天皇) 때 건소하명(建沼河命; 다케누카하노미코토)의 손자 대신명(大臣命)을 국조(國造)로 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나수국조는 하야국(下野國) 나수군(那須郡)을 근거로 한 호족으로 씨성은 나수직(那須直)이며, 나수국조비문(那須國造碑文)으로 유명하다. 나수군은 현재의 회목현(栃木縣)나수군에 해당한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15년(848) 5월 신미조에 나수직적룡(那須直赤龍) 등에게 아배육오신(阿倍陸奧臣)을 사성한 기사가 보이므로 나수직 역시 아배씨와 동족임을 알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죽전신(竹田臣; 다케타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