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아배조신(阿倍朝臣; 아헤노아소미)

아배조신(阿倍朝臣; 아헤노아소미)
 효원천황(孝元天皇; 가우구웬텐노)의 황자(皇子)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 ·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아배조신(阿倍朝臣)
아배(阿倍)라는 씨명은 율령제하의 대화국(大和國) 십시군(十市郡) 안배촌(安倍村)이라는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 아부(阿部)에 해당한다. 이곳에는 고옥안배신사(高屋安倍神社)가 있다.
아배조신은 원래 아배신(阿倍臣)이었는데, 『일본서기』 천무(天武) 13년(684) 11월 무신삭에 아배신에게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였다. 아배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선화기(宣化紀)의 아배대마려신(阿倍大麻呂臣), 민달기(敏達紀)의 아배목신(阿倍目臣), 숭준기(崇峻紀)의 아배신인(阿倍臣人), 추고기(推古紀)의 아배조신(阿倍鳥臣)·아배신마려(阿倍臣摩侶), 황극기(皇極紀)의 아배소족원(阿倍小足媛), 효덕기(孝德紀)의 아배내마려신(阿倍內摩呂臣)·아배창제마려대신(阿倍倉梯麻呂大臣)·아배거증배신(阿倍渠曾倍臣), 제명기(齊明紀)의 아배인전신비라부(阿倍引田臣比羅夫), 천지기(天智紀)의 아배신귤낭(阿倍臣橘娘)이 있다. 조신이라는 성을 하사받은 이후에도 『속일본기』 문무기(文武紀)의 아배조신어주인(阿倍朝臣御主人), 경운(慶雲) 2년(705)의 아배조신숙나마려(阿倍朝臣宿奈麻呂) 등 다수가 보인다.
아배신의 경우 주목해야 할 것은 복성(複姓)이 다양하게 분화된 씨족이라는 점이다. 아배신 일족의 복성이 성립된 시기는 6세기 말경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아배조신은아배조자신(阿倍鳥子臣), 아배내신조(阿倍內臣鳥)로도 나타나는데, 아배내신(阿倍內臣)은아배신의 복성이다. 내(內)는 대화국(大和國) 우지군(宇智郡), 즉 현재의 나량현 오조시(五條市) 일대의 지명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밖에도 아배인전신(阿倍引田臣), 아배거증배신(阿倍渠曾倍臣), 아배포세신(阿倍布勢臣), 아배장전조신(阿倍長田朝臣),아배구노조신(阿倍久努朝臣), 아배박조신(阿倍狛朝臣), 아배소전조신(阿倍小殿朝臣) 등이 아배신의 복성이다. 이러한 복성은 주로 사는 장소나 직능에 따라 다른 씨명을 칭한 결과이며, 아배신의 본종(本宗)에서 분리되어 나왔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복성은 의제적인 동족관계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한편 복성을 가진 인물이 아배신 일족의 씨상(氏上)에 임명되면 그 집안만 아배조신이라는 성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포세조신어주인(布勢朝臣御主人)은 지통천황(持統天皇) 8년(694)에 씨상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아배조신어주인(阿倍朝臣御主人)으로 나타난다. 지통천황 7년에 보이는 인전조신소마려(引田朝臣少麻呂; 히케타노아손스쿠나마로)는 아배인전신비라부(阿倍引田臣比羅夫)의 아들인데, 경운(慶雲) 원년(704)에 아배조신을 칭하게 되었다. 아배조신어주인이 죽은 후 씨상의 지위가 어주인의 후손으로 전해지지 않고 소마려에게 전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 효원천황(孝元天皇)
일본의 제8대 천황으로 일본식 시호는 대일본근자언국견존(大日本根子彦國牽尊), 대왜근자일자국구류명(大倭根子日子國玖琉命)이다. 시호에 포함된 왜근자(倭根子; 야마토네코)라는 용어는 7대 효령(孝靈), 8대 효원(孝元), 9대 개화(開化), 22대 청녕(淸寧)에 보이고,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까지의 지통(持統), 문무(文武), 원명(元明), 원정(元正)에 보인다. 효령 등의 천황이 별다른 사적이 없고 실재하는지가 의문시되므로, 시호도 『일본서기』 편찬의 최종 단계에 후대 천황의 시호를 바탕으로 조작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효원천황의 아들 중 대언명은 아배신(阿倍臣),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협협성산군(狹狹城山君), 축자국조(筑紫國造) 등 많은 씨족의 시조로 유명하다.
한편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효원’ 앞에 ‘대왜근자언국견천황시(大倭根子彦國牽天皇諡)’가 있고, ‘효원’ 다음에는 ‘천황’이라는 글자가 없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3. 대언명(大彦命)
대비고명(大毘古命)으로도 표기하며, 효원천황의 맏아들이며 개화천황(開化天皇)의 형으로 전한다. 어머니는 울색미명(鬱色謎命)이며, 숭신천황(崇神天皇) 때 북륙도(北陸道)를 평정하였다고 한다. 『일본서기』에서는 아배신(阿倍臣),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사사성산군(沙沙城山郡), 축자국조(筑紫國造), 월국조(越國造), 이하신(伊賀臣) 7씨족의 시조로 전한다. 도하산철검명(稻荷山鐵劍銘)의 의부비궤(意富比跪; 오호비코)를 대언명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4. 일본기 ·속일본기합(日本紀 ·續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아배신(阿倍臣) 등 52씨족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내렸다는 기사가 보인다. 『속일본기』에는 경운(慶雲) 원년(704)11월 병신조에 인전조신숙나마려(引田朝臣宿奈麻呂)에게 아배조신(阿倍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였으며, 화동(和銅) 4년(711) 12월 임자조에 박조신추마려(狛朝臣秋麻呂)가 본래의 성인 아배조신을 회복하였다는 기사 등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배조신(阿倍朝臣; 아헤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