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장강조신(長岡朝臣; 나가워카노아소미).

장강조신(長岡朝臣; 나가워카노아소미).
 정6위상(正六位上) 장강조신강성(長岡朝臣岡成; 나가워카노아소미워카나리)은 황통미조천황(皇統彌照天皇; 아마츠히츠기이야테라스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환무(桓武)이다.]가동궁(東宮)일 때, 다치비진인풍계(多治比眞人豐繼; 다지히노마히토토요츠쿠)가 여유(女嬬)가 되어 받들어 낳았다. 연력(延曆) 6년에 특별히 장강조신(長岡朝臣)이라는 성을 내리고 우경(右京)에 편제하였다.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장강조신(長岡朝臣)
장강(長岡; 나가워카)이라는 씨명은 산배국(山背國) 을훈군(乙訓郡) 장강촌(長岡村)에서 온 것으로 생각된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784) 5월 병술에 천도하기 위하여 등원조신소흑마려(藤原朝臣小黑麻呂)를 이곳에 보내어 지형을 살펴보게 하였다는 기사가 보인다. 장강은 현재 경도부(京都府) 향일시(向日市) 계관정정(鷄冠井町) 일원의 장강궁(長岡宮) 유적이 있는 곳이다. 이곳은 784년부터 794년까지 일본 고대국가의 수도였다. 향일시의 남서쪽에 장강경시(長岡京市)가 있는데, 이곳 역시 장강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2. 장강조신강성(長岡朝臣岡成)
『일본후기』 홍인(弘仁) 6년(815) 6월 경자에 장강조신강성이 산위료(散位寮)의 장관인 산위두(散位頭)에 임명되었다는 기사가 보이고, 천장(天長) 10년(833) 11월 18일에 그의 최고 관위인 종4위상에 올랐다. 가상(嘉祥) 원년(848) 12월에 죽었다. 장강조신강성이 정6위상에서 종5위하에 오른 것은 홍인 원년(810) 11월 무오이다(『일본후기』). 따라서 이 기사는 810년 11월 이전의 기록에 의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의 일족으로는 장강조신수웅(長岡朝臣秀雄)이 있다. 그는 대장성(大藏省)의 대승(大丞), 원강수(遠江守), 삼하수(參河守) 등을 지냈다.
3. 동궁(東宮)
환무천황이 동궁으로 있었던 기간은 보귀(寶龜) 4년(773) 1월부터 천응(天應) 원년(781)4월까지이다.
4. 다치비진인풍계(多治比眞人豐繼)
『일본후기』 연력(延曆) 18년(799) 정월 정사조에만 보이는데 종5위하에서 종5위상에 올랐다.
5.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 연력 6년(787) 2월 경신조에 강성에게 장강조신을 사성한 기사가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장강조신(長岡朝臣; 나가워카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