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원조신(源朝臣; 미나모토노아소미)

원조신(源朝臣; 미나모토노아소미)
 원조신신(源朝臣信; 미나모토노아소미마코토)은 나이 6세이다.[어머니는 광정씨(廣井氏; 히로위시)이다.]. 아우 원조신홍(源朝臣弘; 미나모토노아소미히로시)은 나이 4세이다.[어머니는 상모야씨(上毛野氏; 가미츠케노시)이다.] 아우 원조신상(源朝臣常; 미나모토노아소미토키하)은 나이 4세이다. 아우 원조신명(源朝臣明; 미나모토노아소미아키라)은 나이 2세이다.[이상 두 사람은 어머니가 반고씨(飯高氏; 이히다카시)이다.] 누이 원조신정희(源朝臣貞姬; 미나모토노아소미사다히메)는 나이 6세이다.[어머니는 포세씨(布勢氏; 후세시)이다.] 누이 원조신결희(源朝臣潔姬; 미나모토노아소미키요히메)는 나이 6세이다. 누이 원조신전희(源朝臣全姬; 미나모토노아소미마타히메)는 나이 4세이다.[이상 두 사람은 어머니가 당마씨(當麻氏; 다기마시)이다.] 누이 원조신선희(源朝臣善姬; 미나모토노아소미요시히메)는 나이 2세이다.[어머니는 백제씨(百濟氏; 구다라시)이다.] 신(信) 등 여덟 사람은 금상(今上)의 친왕(親王)인데 홍인(弘仁) 5년(814) 5월 8일에 칙으로 성을 내리고 좌경(左京) 1조(一條) 1방(一坊)에 편제하고, 신(信)으로 호주(戶主)를 삼았다.
 
【주석】
1. 원조신(源朝臣)
원(源; 미나모토)은 조상이 같은 근원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위서(魏書)』 원하전(源賀傳)에는 조조(曹操)의 둘째 아들로 위(魏)를 건국한 조비(曹丕)가 하서왕(河西王)의 아들 하(賀)에게 자신과 근원이 같은데 사정이 있어서 성을 나눈 것이라고 하고 원씨(源氏)로 삼았다는 내용이 보인다.
원조신에 관한 조항은 『신찬성씨록』 의 일반적인 기록 방식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신(信) 등 8명에게 성을 내리는 천황의 칙(勅)을 담은 태정관부(太政官符)를 그대로 옮겨왔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력(延曆) 21년(802)에 태정관(太政官)이 민부성(民部省)에 내린 태정관부에서는 “원조신고명(源朝臣高明)은 나이 8세이다. 원조신겸명(源朝臣兼明)은 나이 8세이다. 원조신자명(源朝臣自明)은 나이 4세이다. 원조신윤명(源朝臣允明)은 나이 3세이다. 원조신겸자(源朝臣兼子)는 나이 7세이다. 원조신아자(源朝臣雅子)는 나이 7세이다. 원조신엄자(源朝臣嚴子)는 나이 6세이다. 우대신(右大臣)이 알리기를, 칙을 받드니, 7사람은 황자(皇子)이다. 작년 12월 28일 칙서에 의거하여 성을 내리고 좌경(左京) 일조(一條) 일방(一坊)에 편제하고, 고명(高明)을 호주로 삼으라.’라고 하셨다. 중무성은 잘 알아서 알린 대로 행하라. 태정관부가 도착하면 받들어 행하라.”라고 하였다. 두 내용은 태정관부의 형식적인 문구를 제외하면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원조신신(源朝臣信)
제52대 차아천황(嵯峨天皇, 재위 809~823)의 아들이다. 『일본후기(日本後紀)』 홍인(弘仁) 6년(815) 6월 무오조에 “황자 원조신신, 아우 홍(弘) 등을 좌경(左京)에 관부(貫附)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이고, 『유취국사(類聚國史)』에서는 천장(天長) 7년(830) 정월 을미조에 “근천야(芹川野)에 행차하여 유렵(遊獵)을 하였는데, 종4위하 원조신신이 시종(侍從)가 되었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이후 그는 참의(參議), 좌병위독(左兵衛督), 좌근위중장(左近衛中將), 무장수(武藏守), 중납언(中納言), 대납언(大納言), 동궁부(東宮傅),좌대신(左大臣) 등의 요직을 거쳤다. 그 아들 심(尋)은 춘조신(春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
3. 연륙(年六)
원조신신의 나이는 6세로 되어 있는데, 『신찬성씨록』 이 완성된 홍인(弘仁) 6년(815)의 나이이다.
4. 광정씨(廣井氏)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觀) 10년(868) 윤12월 29일 정미조의 원조신신의 훙전(薨傳)에는 어머니가 광정숙녜씨(廣井宿禰氏)라고 하였다. 어머니의 이름은 알 수 없다.
5. 원조신홍(源朝臣弘)
원조신신의 동생으로 신농수(信濃守), 궁내경(宮內卿), 치부경(治部卿), 좌대변(左大辨), 중납언(中納言) 등을 역임하였다. 정관(貞觀) 5년(864) 정월 25일에 52세로 죽었는데, 『일본삼대실록』 의 훙전(薨傳)에서는 그가 차아(嵯峨) 태상천황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모야조신씨(毛野朝臣氏)이며 경사(經史)를 즐겨 읽고 예서(隷書)에 능하다고 하였다. 성품이 관대하고 중후하며 정치에도 밝아서 일을 처리하는 것이 청렴하고 과단성이 있었다고 하였다. 차아의 아들 중에서 가장 학문을 좋아하여 특별히 경적(經籍)을 내렸는데 다른 아들보다 배나 많았다고 한다.
6. 원조신상(源朝臣常)
원조신신의 동생으로 병부경(兵部卿), 중납언(中納言), 좌근위대장(左近衛大將), 대납언(大納言), 우대신(右大臣), 동궁부(東宮傅), 좌대신(左大臣) 등의 요직을 거쳤다. 제형(齊衡) 원년(854) 6월 13일에 43세로 죽었는데,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의 훙전(薨傳)에는 차아 태상천황의 황자이며 원씨(源氏)의 세 번째 아들로 어머니는 반고씨(飯高氏)라고 하였다. 재능이 있는 사람은 끌어 주고 거짓말을 하고 망령된 무리들은 미워하여 친하게 지내지 않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승상(丞相)의 그릇이라고 여겼다고 하였다.
7. 원조신명(源朝臣明)
원조신상과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났으며, 천장(天長) 9년(832)에 무위(無位)에서 종4위상에 올랐으며 이후 대학두(大學頭), 가하수(加賀守), 좌경대부(左京大夫), 형부경(刑部卿), 참의(參議) 등을 지냈다. 차아천황이 죽은 후에 출가하였고, 천태종의 승려 소연(素然)으로 죽었다.
8. 반고씨(飯高氏)
원조신상과 원조신명의 어머니로 이름이 택도자(宅刀自)로 전한다,
9. 원조신정희(源朝臣貞姬)
『일본후기』 홍인(弘仁) 6년(815) 6월 무오조에 원조신신 등과 함께 좌경(左京)에 관부(貫附)되었다는 내용이 보이고, 승화(承和) 8년(841)에 무위로부터 종4위상에 올랐으며, 원경(元慶) 4년(880) 7월 17일에 산사(散事) 정4위하로 죽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10. 포세씨(布勢氏)
원조신정희의 어머니의 이름은 알 수 없다. 포세씨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상) 「포세조신(布勢朝臣)」 조(055) 참조.
11. 원조신결희(源朝臣潔姬)
『일본문덕천황실록』 인수(仁壽) 원년(851) 11월 을해조에서 우대신(右大臣) 등원조신양방(藤原朝臣良房)에게 정2위, 그 부인 정4위하 원조신결희에게 종3위를 주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녀의 훙전(薨傳)에는 차아천황이 등원조신양방에 특별히 명을 내려 결희와 혼인하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청화천황(淸和天皇)의 황태후는 두 사람 사이의 장녀이다.
12. 원조신전희(源朝臣全姬)
원조신결희와 어머니가 같으며, 정관(貞觀) 2년(860)에 상시(尙侍)가 되었다. 원경(元慶)6년(882) 정월 25일에 죽었다,
13. 당마씨(當麻氏)
『일본삼대실록』 당마진인청웅(當麻眞人淸雄)의 졸전(卒傳)에, 아버지는 정6위상 치전마(治田麿)이고 청웅(淸雄)의 누이가 차아천황의 행희(幸姬)가 되어 원조신결희와 원조신전희 두 황녀(皇女)를 낳았고, 결희는 태정대신 충인궁(忠仁公)의 부인이라고 하였다. 당마진인(當麻眞人)은 우경 황별 「당마진인」 조(039) 참조.
14. 원조신선희(源朝臣善姬)
『일본후기』 홍인(弘仁) 6년(815) 6월 무오조에 원조신신 등과 함께 좌경(左京)에 관부(貫附)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15. 백제씨(百濟氏)
백제숙녜씨(百濟宿禰氏)로 생각되며 이름은 알 수 없다. 『일본후기』 홍인(弘仁) 6년(815)정월 경진조에 종8위하 백제숙녜사천자(百濟宿禰四千子)에게 외종5위하를 주었다는 기사가 보이는데, 이를 원조신선희의 어머니로 보는 견해도 있다.
16. 금상(今上)
차아천황(嵯峨天皇, 재위 809~823)을 말한다.
17. 홍인(弘仁) 칙(勅)
『유취삼대격(類聚三代格)』(권17)에 해당 칙이 실려 있다. 그 내용은 차아천황이 자신의 덕화가 부족한데 헛되이 세월이 흘러 자식들이 많아져서 나라의 땅과 재산을 허비하고 있으므로, 친왕(親王)이라는 호칭을 없애고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내려 같은 호적에 편제하되 후에 관직에 나갈 때는 6위를 주도록 하라는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원조신(源朝臣; 미나모토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