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문실진인(文室眞人; 후미야노마히토)

문실진인(文室眞人; 후미야노마히토)
 천무(天武; 덴무)의 황자(皇子)인 2품(二品) 장왕(長王; 나가노미코)의 후손이다.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문실진인(文室眞人)
문실(文室; 후미야)이라는 씨명과 관련하여, 지명으로 병고현(兵庫懸) 단파시(丹波市) 청원정(靑垣町) 문실이나 자하현(滋賀縣) 장빈시(長濱市) 여오정(余吳町) 문실, 복정현(福井縣) 월전시(越前市) 문실정(文室町) 등이 보이지만 문실진인과의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다. 그래서 문실은 문옥(文屋)이라고도 표기하므로, 학관(學館)과 같이 학습을 하는 건물 등을 뜻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문실진인이라는 씨성은 『속일본기』천평승보(天平勝寶) 4년(752) 9월 을축조에서 종3위 지노왕(智努王)에게 문실진인을 사성(賜姓)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노왕은 이 사성을 통하여 문실진일지노(文室眞人智努)가 되었고, 정3위 전대납언(前大納言)문실진인대시(文室眞人大市)는 지노의 동생이다. 삼제조신대원(三諸朝臣大原)은 지노의 아홉째 아들이다. 문실진인은 문실조신(文室朝臣), 삼제조신(三諸朝臣), 삼산조신(三山朝臣)으로 분화되었으며, 문실진인과 문실조신에는 고시친왕(高市親王)의 계열도 있었다.
2. 천무황자(天武皇子)
천무황자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 「삼국진인」 조(005) 천무 참조. 완본에는 ‘천무(天武)’ 앞에 ‘천정중원영진인천황시(天渟中原瀛眞人天皇諡)’라는 글자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3. 장왕(長王)
장왕은 천무천황과 대강황녀(大江皇女)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속일본기』영귀(靈龜)원년(715) 6월 갑인조에 의하면 “1품 장친왕이 죽었는데, 천무천황의 네 번째 황자”라고 하였으며, 율서왕(栗栖王), 문실진인읍진(文室眞人邑珍), 광뢰여왕(廣瀨女王) 등이 그의 자식들이다.
4.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4년(752) 9월 을축조에서 종3위 지노왕 등에게 문실진인이라는 성을 주었다는 내용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문실진인(文室眞人; 후미야노마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2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