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노진인(路眞人; 미치노마히토)

노진인(路眞人; 미치노마히토)
 시호 민달(敏達; 비타츠)천황의 황자 난파왕(難波王; 나니하노미코)의 후손이다. 『일본서기』와 합치한다.
 
【주석】
1. 노진인(路眞人)
노(路; 미치)라는 씨명은 일본 고대 대부분의 씨명과 마찬가지로 지명에서 유래하였을 것이지만, 이 지명이 사료에 보이지 않아 어디인지 알 수 없다.
『일본서기』 천무(天武) 13년(684) 10월 기묘삭조에서 진인 성을 사성한 13씨 중에 노공(路公)이 보이므로 노진인의 옛 성은 공(公)임을 알 수 있다.
노공의 일족은 사료에 보이지 않아 알 수 없지만 노진인은 『일본서기』 천무 14년(685) 9월 무오조에 노진인적견(路眞人迹見)이 보인다. 그는 직광삼(直廣參, 율령제의 정5위하에 해당)으로 남해사자(南海使者)로 파견되어 국사와 군사를 감찰하였다. 『속일본기』에도 노진인대인(路眞人大人), 노진인마려(路眞人麻呂), 노진인충마려(路眞人虫麻呂), 노진인야상(路眞人野上), 노진인응양(路眞人鷹養), 노진인석성(路眞人石成), 노진인옥수(路眞人玉守), 노진인풍장(路眞人豐長) 등의 관위 수여 기사가 보인다. 노진인씨 일족은 『일본후기(日本後紀)』에서 노진인연계(路眞人年繼),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에서 노진인계족(路眞人繼足)과 노진인씨자(路眞人氏子)에게 관위를 수여한 기사가 보인다. 노진인씨 일족이 중앙의 율령관인으로 활약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시민달(諡敏達)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시(諡)’ 자의 앞에 ‘정중창태주부천황(渟中倉太珠敷天皇)’이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3. 난파왕(難波王)
민달천황의 아들이다. 『고사기』 민달천황단에서는 민달천황이 춘일중약자(春日中若子)의 딸 노여자부인(老女子夫人)에게서 낳은 아들이 난파왕이라고 적고 있다. 한편 『일본서기』 민달 4년 정월 시월조에서는 춘일신중군(春日臣仲君)의 딸 노여자부인(老女子夫人)에게서 낳은 3남 1녀 중에서 맏아들이 난파황자라고 적고 있다. 『일본서기』 숭준천황 즉위 전기에서는 물부수옥대련(物部守屋大連)을 치러 가는 군대에 참가하고 있다.
『칠대사순례기(七大寺巡禮記)』에서는 대택사(大宅寺)가 난파황자사(難波皇子寺)라고도 불리운다고 적고, 이 절이 난파황자가 건립한 절이며 당탑의 일부가 원래대로 남아 있다고 적고 있다.
4.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 10월 기묘삭조에서 진인 성을 사성한 13씨 중에 노공이 보이는 것을 가리킨다.
 
* 『칠대사순례기(七大寺巡禮記)』
『남도칠대사순례기(南都七大寺巡禮記)』, 『관가본제사연기집(菅家本諸寺緣起集)』 이라고도 한다. 남도(南都) 나량(奈良)의 7대사인 동대사(東大寺), 대안사(大安寺), 서대사(西大寺), 흥복사(興福寺), 원흥사(元興寺), 약사사(藥師寺), 법륭사(法隆寺)와 당초제사(唐招提寺)를 비롯한 대화국(大和國) 내의 여러 사원과 연력사(延曆寺), 사천왕사(四天王寺), 육승사(六勝寺), 경도오산(京都五山), 겸창오산(鎌倉五山)과 그 밖의 명찰의 연기, 당사(堂舍), 불상 등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1책). 저자는 미상이다.
실정(室町) 시대 전기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량의 7대사와 당초제사에 대해서는 『칠대사순례사기(七大寺巡禮私記)』 를 기초로 하여 실정 시대 초기까지의 자료를 보충하면서 자세하게 서술하고, 그 밖의 사찰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7대사 이외의 사찰에 대해서 이 책에만 보이는 기사가 있다.
동경국립박물관에 소장된 관정우수택본(菅政友水澤本, 菅家本)이 유일하게 전하는 필사본인데, 이 책의 표지 바깥쪽에 ‘제사연기집(諸寺緣起集)’이라고 적고, 안쪽 제일 앞부분에 ‘남도칠대사순례기’라고 적고 있다. 이 책의 본문은 『계간미술사료(季刊美術史料)』 사원편(寺院篇) 상(上)에 실려 있다.
 
* 『칠대사순례사기(七大寺巡禮私記)』
산위(散位) 대강친통(大江親通, ?~1151)이 1140년(保延 6)에 남도(南都) 나량(奈良)의 7대사인 동대사(東大寺), 대안사(大安寺), 서대사(西大寺), 흥복사(興福寺), 원흥사(元興寺), 약사사(藥師寺), 법륭사(法隆寺)와 당초제사(唐招提寺)를 돌아본 기록이다. 대강친통은 앞서 1106년(嘉承 1)에 나량의 절을 방문하여 당탑과 불상을 기록한 『칠대사일기(七大寺日記)』 를 썼다. 이후 1140년에 이곳들을 다시 방문하고 역사와 전설 등 문학적 기술을 추가한 것이 이 책이다. 원정기(院政期) 7대사의 실정을 전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노진인(路眞人; 미치노마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1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