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판전주인진인(坂田酒人眞人; 사카타노사카비토노마히토)

판전주인진인(坂田酒人眞人; 사카타노사카비토노마히토)
 식장진인(息長眞人; 오키나가노마히토)과 같은 조상을 가진다.
 
【주석】
1. 판전주인진인(坂田酒人眞人)
판전(坂田; 사카타)이라는 씨명은 지명에서 유래한다. 율령제 시대에 근강국(近江國) 판전군(坂田郡)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판전군(坂田郡)이다. 그리고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에 섭진국(攝津國) 동생군(東生郡) 주인향(酒人鄕)이 보이므로 주인(酒人)이라는 씨명도 지명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0월조에서는 판전공(坂田公)과 주인공(酒人公)이 진인(眞人)을 사성받았다고 적고 있다. 판전공과 주인공에 대해서는 『일본서기』계체천황(繼體天皇) 원년 3월 계유조에서는 계체천황이 근왕(根王)의 딸 광원(廣媛)을 비(妃)로 맞아들여 낳은 두 아들 토황자(兔皇子)와 중황자(中皇子)가 각각 주인공과 판전공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그러나 『일본서기』에는 주인공과 판전공에 대해서는 더이상 보이지 않는다.
한편 『고사기』 응신천황단에서는 응신천황의 아들 약야모이오왕(若野毛二俁王; 와카누케후타마타노오호키미)의 후손으로 주인군(酒人君)과 식장판군이 보인다. 아마도 식장군과 판전군으로 표기해야 할 것이 탈자가 생겨 현재 남아 있는 필사본에서는 식장판군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판전주인진인에 대해서는 『고사기』 나 『일본서기』 를 비롯한 육국사에서 보이지 않아 판전군과 주인군이 어떻게 팔전주인군이 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판전주인군이 어떻게 판전주인진인이 되었는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문서에는 판전주인진인씨가 보인다. 판전주인진인이 처음 보이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천평 19년(747) 12월 22일자 「근강국판전군사해비매매권(近江國坂田郡司解婢賣買券)」 (『대일본고문서』 9-642~644)로 여기에 판전군의 대령(大領) 정8위상 판전주인진인신량귀(坂田酒人眞人新良貴)가 보인다.
그리고 천장(天長) 10년(833) 2월 30일자 「근강국대원향장해사(近江國大原鄕長解寫)」(『평안유문(平安遺文)』 1-39)에는 판전군의 소령(少領) 외종8위상 판전주인진인(坂田酒人眞人)이 보인다. 이 판전주인진인은 승화(承和) 6년(839) 3월 3일자 「근강국대원향장해사(近江國大原鄕長解寫)」(『평안유문』 1-38)에 보이는 판전군의 소령(少領) 외종8위상 판전주인진인광공(坂田酒人眞人廣公)과 동일인으로 이름이 생략되었다.
판전주인진인이 근강국 판전군의 호족으로서 군사(郡司)로 근무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판전주인공씨도 고문서에 보인다. 천평보자(天平寶字) 6년(762) 8월 18일자 「근강국판전군상판향장해사(近江國坂田郡上坂鄕長解寫)」 (『대일본고문서』25-334)에는 판전군 상판향의 향장 판전주인공전교(坂田酒人公田挍)라는 이름이 보인다.
이상 고문서에 보이는 판전주인진인이나 판전주인공을 통해 이들이 8세기 중엽에서 9세기 전반에 근강국 판전군에서 재지 호족으로 세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판전군의 대원향, 상판향 등에 거주하였다. 이들이 판전주인이라는 씨명을 가지게 된 것은 판전군에서 술을 관장하는 씨족이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2. 식장진인동조(息長眞人同祖)
『고사기』 응신천황단에서 응신천황의 아들 약야모이오왕(若野毛二俁王; 와카누케후타마타노오호키미)이 식장진약중비매의 여동생 백사목이려변(百師木伊呂變; 모모시키이로베)과 결혼하여 낳은 의부부저왕(意富富杼王; 오호호토노오호키미)의 후손으로 삼국군(三國君), 파다군(波多君), 식장판군(息長坂君), 주인군(酒人君), 산도군(山道君), 축자(筑紫)의 미다군(米多君), 포세군(布勢君) 등이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식장판군은 식장군과 판전군에 탈자가 생겨 식장판군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식장군이나 식장진인, 판전군과 주인군 등은 모두 응신천황의 손자 의부부저왕의 후손이다.
 
*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
『왜명유취초(倭名類聚抄)』, 『왜명초(倭名抄)』 등으로도 표기된다. 헤이안 시대 중기인 승평(承平) 연간(931~938)에 제호천황(醍醐天皇)의 딸 근자내친왕(勤子內親王)의 명을 받아 20대의 젊은 학자 원순(源順; 미나모토노시타고우)이 편찬한 일본 최초의 분류체 사전이다. 중국의 분류 사전인 『이아(爾雅)』 의 영향을 받았다. 10권본과 20권본이 있는데 어느 것이 원순이 편찬한 것인지 알 수 없다. 10권본은 24부(部) 128문(門), 20권본은 32부 249문으로 구성되었다. 한어(漢語)를 제시하고 그 단어의 출전, 자음(字音, 한자의 일본어 음독), 화명(和名, 한자의 일본어 훈독)을 적었다. 화명은 만엽가명(萬葉假名)로 표기되어 일본 고대 어휘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사본 중에는 성음(聲音)을 적은 것도 있어 일본 고대어의 액센트 자료로서도 사용된다. 이 책에 인용된 책 중에는 현존하지 않는 것이 많으며, 문학 작품에 잘 보이지 않는 일상 사용되는 물품의 화명도 많이 적혀 있다.
20권본의 제12부는 국군부(國郡部)로서 국(國), 군(郡), 향(鄕)의 이름이 보인다. 나파도원(那波道圓) 이원화(元和) 3년(1617)에 간행한 『화명유취초』 20권본의 본문은 ‘일본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에서 검색할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판전주인진인(坂田酒人眞人; 사카타노사카비토노마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