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6) 크라스키노 성의 뼈 유물의 분포

다른 임의의 주거지점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크라스키노 성에서도 기능과 주민들의 이용정도가 차이가 나는 도로, 거주구역, 폐기된 주거지, 사찰 등등의 구역들을 구분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구역들에서 뼈 유물의 수량과 동물의 종이 동일하지가 않았다. 성 안에서 뼈 유물들의 분포의 법칙성을 그 구조와 기능에 따라 밝히는 것은 이 지역 주민들의 경제적 및 일상적 활동에 대해 보다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지금 검토하고 있는 크라스키노 성의 골학 자료들은 거주구역, 행정건물, 도로, 그리고 이것들이 속한 공간들에서 발견되었다(도면 3). 동물의 뼈들이 발견된 지역의 분석을 위해 행정건물이 발견된 발굴구역(제48구역)을 포함하는 “거주구역”과 “도로”를 따로 구분하였다(표 5). 제48구역의 거주구역에는 주거용 집들에 특징적이지 않는 유물을 포함하는 경제구덩이가 발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발굴구역의 경제구덩이에서 출토된 뼈들은 따로 분석을 하였다.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거주구역과 도로에서 출토된 뼈 유물들이 수량에서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다. 전체적으로 거주구역에서는 도로에 비해 뼈 유물들이 4배가 적게 발견되었다(표 5). 더욱이 거주구역의 발굴면적이 더 크다. 다시 말해서 거주구역에서는 뼈들의 밀집도가 도로에 비해 현격하게 낮았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주민들은 도로에 여러 종류의 폐기물과 쓰레기를 버렸고, 집에는 반대로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거주구역에서는 (제48구역을 제외하고) 거의 예외적으로 가축 동물의 뼈들만 발견되었는데, 다만 그 중에는 고래의 뼈가 1점 포함되어 있었을 뿐이다. 경제구덩이가 있는 제48구역에서는 작은 뿔 동물과 낙타를 포함하여 가축 동물의 뼈들이 최대로 발견되었고, 또한 다른 거주구역 발굴구역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2개의 종에 속하는 야생동물의 뼈들도 발견되었다(표 5).
도로들(제47구역, 제49구역, 제42구역) 간의 비교는 뼈들이 양적 및 질적 구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도면 4).
제42구역은 남문지 부근에서 시작되는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다. 이 도로는 남-북 방향으로 나 있고, 성의 내부를 동쪽과 서쪽 두 부분으로 나뉘고 있다(도면 3). 종이 파악된 절반 이상의 동물 뼈(246점)가 바로 제42구역에서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이곳에서는 포유류 야생동물의 종이 가장 많은 종류(9개 중 8개의 종)가 발견되었고, 조류의 뼈와 심지어는 인간의 지골도 확인되었다. 중세시기에,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극동의 도시들에서는 그와 같은 중앙대로에 시장, 주막, 작은 공방 등등이 위치하였는데, 바로 이 점이 그와 같은 다량의 동물 뼈와 그와 같은 다양한 동물구성을 가능하게 하였을 것이다.
 
도면 3 크라스키노 성의 발굴구역들 배치도
도면 4 크라스키노 성 여러 지역들에서의 가축 동물들의 상관관계. ※ - 제34구역, 제40구역, 제41구역, 제44구역, 제45구역.
- (그림 설명 - 왼쪽 세로 방향 ‘뼈들의 상대적 수량’ , 아래 윗줄 ‘발굴구역’ , 아래 아랫줄 차례로 ‘소’ , ‘돼지’ , ‘말’ , ‘개’ , ‘작은 뿔 동물’ , ‘낙타’)
 
동물거주구역경제 구덩이도로
제48구역제47구역제49구역제42구역합계
포유류 가축
359786132171
돼지173411846105
11617122150
3315-2944
작은 뿔 동물-3----
낙타-1----
가축 합계662515491128370
포유류 야생동물
노루--2-1113
매화사슴--1-78
말사슴--1-34
멧돼지-22-24
여우-1----
오소리----11
토끼----11
----11
고래1-1--1
야생동물 합계137-2637
포유류 동물 합계942815894154403
조류
----11
오리----11
1---22
새(종이 구분되지 못함)3-----
조류 합계4---44
 
다른 모든 발굴구역들과는 달리 이곳에서는 돼지의 뼈가 소의 뼈보다 더 많고(도면 4) 그리고 발해유적들에 있어 “전형적인” 양상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 안에서 발견된 전체적은 동물 종들의 상관관계에 대한 양상에는 변화가 없다. 모든 것들을 통해 볼 때에 다양한 종류의 주막과 수많은 사람들의 존재가 성 안에 있어 그와 같이 많은 수량의 돼지 뼈가 모이게 하였을 것이다.
이 경우 성의 북쪽 부분에 위치하는 2개의 도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정된 제49구역에서는 야생동물의 뼈가 발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가축의 하나인 개의 뼈도 발견되지 않았다(표 5, 도면 4). 이곳에서는 동물 종의 종류가 가장 적게 발견되었는데 바로 소, 돼지, 말 3개의 종만 확인되었다. 모든 것을 통해 볼 때에 이곳은 성 안에서 훨씬 더 조용한 곳이었고, 사람들과 공공장소도 더 적었을 것이다.
제47구역은 성 안 북쪽의 거주구역에 있는 도로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가축들의 상관관계가 거주구역들에서의 그것과 매우 흡사하다(도면 4). 바로 이곳에서 두 번째의 고래 척추 뼈가 발견되었다(첫 번째의 고래 척추 뼈는 거주구역에서 발견되었다). 거주구역들에서와는 달리 이곳에서는 4개의 종에 속하는 지상 포유류 야생동물의 뼈가 발견되었다.
크라스키노 성 안의 서로 다른 지역들에서 출토된 동물 뼈들이 속하는 종들의 구성과 수량적 상관관계의 비교는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를 주었다. 성 안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는 도로들은 이 매개변수들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인다. 한 곳의 도로에는 동물 뼈들이 종과 수량에 있어 매우 풍부하고, 다른 한 곳의 도로에는 그것이 상당히 빈약하다. 서로 다른 도로들에서 가축 동물들의 상관관계도 본질적인 차이를 보인다. 거주구역의 서로 다른 지역들을 이 매개변수들을 통해 비교하는 것은 아직은 불가능한데 그것은 유물의 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 주민들의 동물 이용(종의 수, 동물 종들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인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건축물과 유구가 있는 성 안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부분들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6) 크라스키노 성의 뼈 유물의 분포 자료번호 : kr.d_0015_0050_001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