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동전자고분군

東甸子墓群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날짜
    1960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길림성 임강시 육도구진 동전자촌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임강시 육도구진 동전자촌(동화피전자촌) 서쪽 대지와 뒷산 남쪽 언덕에 위치
유적개관
1960년 조사 당시 백 수십여 기의 고분이 발견되었으며, 1984년 재조사시에는 2개 구역으로 나뉘어 60여기의 고분만이 확인되었다. 대부분 기단적석총이며, 일부 계단적석총도 확인된다.
유물개관
토기, 동복, 철제 자귀, 철제 괭이, 창
참고문헌
「東北史地」2004-5
해설
중국 길림성 임강시 육도구진 동전자촌(=동화피전자촌) 서쪽 대지와 뒤쪽 산의 남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 4km 거리에 6도구향이, 남쪽으로는 압록강이 위치하고 있다. 동전자는 압록강 오른쪽 언덕[右岸]의 좁고 긴 충적대지 위에 위치하고 있다. 대지는 동서길이 2.5km, 남북 길이 약 1km이다. 1960년 발굴 조사에서는 100여개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나 1984년 발굴조사에서 2개 구역에서 60여개의 무덤이 확인되었고, 1987년 조사에서 동전자촌 서쪽 대지에서 30여개의 무덤과 동전자 뒷산 남쪽 언덕에서 5개의 무덤을 확인하였다. 2004년 최종적인 발굴 조사에서도 거의 동일한 수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고분군은 2개 구역으로 나뉘어 분포하고 있는데, Ⅰ구역은 도로 남쪽에 형성된 마을의 서쪽 대지에 분포하는 고분군으로, 동서 길이 300m, 남북 길이 200m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30여개의 무덤이 남아 있지만 보존이 비교적 양호한 것은 15개로 나머지 무덤들은 파괴가 심각하다. 무덤의 유형은 기단이 있는 돌무지 연접 무덤[기단적석연접묘(基壇積石串墓)]과 기단이 있는 돌무지무덤[기단적석총(基壇積石塚)], 계단식으로 돌무지무덤[계단적석총(階段積石塚)]으로 분류된다. 쌓아 올린 돌은 자연적인 산돌(山石)이 주를 이루고 소량의 조약돌[河卵石]이 사용되었으며, 계단석은 가공한 돌을 사용하였다. 가장 큰 계단석은 길이가 1.5m, 넓이 0.5m, 높이 0.7m로 계단은 3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많다. Ⅰ구역 무덤 중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은 동전자 10호분으로 기단이 있는 돌무지 연접 무덤으로 길이가 12m, 너비가 24m, 높이 2.2m의 대형 무덤이다.
Ⅱ구역은 도로 북쪽, 마을 동쪽 뒷산 언덕 위의 고분군으로 5기 정도로 모두 계단식으로 쌓은 대형 돌무지무덤(대형계단적석묘)이다. 이중 동전자 2구역 1호분은 규모다 가장 큰 것으로 남북길이 30m, 동서길이 28m, 높이 7m로 평면은 정사각형[正方形]에 가까운 형태이며, 정상부에 벽으로 나누어진 2개의 구멍이 있는 무덤[쌍광묘(雙壙墓)]으로 3층의 계단이 확인되는데 계단을 쌓은 돌은 겉면은 길이 2.5m, 너비 0.4m, 높이 0.8m로 가공된 돌을 사용하였고, 내부는 작은 산돌[碎山石]로 채워 넣었다. 무덤의 남쪽 반 부분의 쌓은 돌은 현지의 주민들이 가져가서 파괴되었다. 이 무덤의 동남쪽 산비탈로 10m쯤 내려간 곳에 동전자 2구역 2호분이 있다. 길이 19m, 너비 15m, 높이 6m로 무덤 형태는 1호분과 비슷한데 무덤 북쪽에 돌로 된 상자[石箱]가 있다는 것이 다르다. 이러한 1호분과 2호분은 집안 통구 고분군 산성하구의 형·제총(兄·弟塚)과 축조 방식이 비슷해 대체적인 축조연대를 4-5세기로 추정하고 있다. 무덤이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한 큰 규모임을 생각할 때 고구려 귀족의 고분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전자 고분군의 무덤 형태는 집안 통구 고분군의 무덤과 비슷하다. 또한 멀지 않은 거리에 화피전자고성이 있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한다. 동전자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직구 항아리[直口罐], 동으로 만든 솥[銅鍑], 철자귀[鐵鏟], 철괭이[鐵钁], 철창[鐵矛], 토기 조각, 돌도끼, 돌칼, 어망추(漁網錘) 등이 있다. 특히 Ⅰ구역에서 출토된 동솥은 북방 흉노·선비족의 문물과 유사해 고구려가 주변 민족과 밀접한 교류를 행했던 사실을 보여준다. 철괭이의 경우는 도끼 모양으로 집안의 고구려 무덤에서는 보기 힘든 형태로 이 지역의 토착문화 혹은 고구려 이전 문화의 유물로 보기도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전자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20_00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