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4) 시루

시루는 바닥에 구멍을 내어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한 용기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콩나물을 시루에서 기르기도 하여 시루의 용도가 반드시 음식조리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시루는 형태적으로 동이와 비슷한 경우가 많아 바닥이 없이 구연부나 동체부가 편 상태로 출토되면 동이와 서로 구분이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바닥에 시루구멍이 확인된 것들만 포함하여 소개하였다. 다만 2점은 구연-동체 윗부분이 시루로 보고된 것이 있어 포함시켰다. 시루구멍은 크기가 다양하나 비교적 큰 것들로 된 것들(Ⅰ형식)과 작은 것들만으로 된 것들(Ⅱ형식)이 서로 구분된다. Ⅱ형식의 시루구멍을 가진 시루는 소공(小孔) 혹은 다공(多孔) 시루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Ⅰ형식. 시루 구멍이 바닥에 전체적으로 남아 있는 것은 2점에 불과한데 구멍의 모양과 개수가 서로 다른 형식이다. 그 외에 전체가 확인되지는 않아도 그 둘과 다른 형식의 것도 보인다. 편 상태로 출토된 것들은 이 세 형식 중의 하나에 속한다. 하지만 어느 형식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 것들도 있다(도면 2014-613, 1; 703, 2; 1999-141, 23; 150, 15).
Ⅰ-1형식. 가장자리 쪽에 타원형의 구멍을 4개 등 간격으로 내고, 그리고 가운데에 원형의 구멍을 1개 낸 시루이다. 1999년에 제22구역에서 출토된 1점은 바닥이 모두 남아 있는 이 형식의 시루이다. 도면에 제시된 축척을 통해 크기를 산출해 보면 저경은 약 24.8㎝, 시루 구멍의 크기는 가장자리 타원형의 것은 3.5×5.8㎝, 가운데 둥근 것은 직경이 약 4.3㎝이다(도면 951, 1). 2015년에 제47구역에서 출토된 시루도 이 형식에 속한다(도면 951, 2; 952, 1).
도면 951 | 크라스키노성 출토 시루 Ⅰ-1형식(1,2), Ⅰ-2형식(3), Ⅰ-3형식(4), Ⅰ-4형식(5~7)과 기타(8~12): 1-제22구역 제3~4인공층(1999-도159, 2), 2-제47구역 2섹터 제11인공층 아-19방안(2015-도506, 4), 3-제40구역 제12~18인공층 13호 주거지 베,붸-21, 예-21,22방안(2009-도489, 9), 4-제44구역 제10인공층 예-25방안(2014-도185), 5-제40구역 제14인공층 11호 수혈 내부(2009-도423, 2), 6-제44구역 제8인공층 엘-24방안(2014-도127, 5), 7-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50, 15), 8-제47구역 3섹터 제9인공층 아-30방안(2014-도613, 1), 9-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게-30방안(2014-도703, 2), 10-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41, 23), 11-제12구역(1996-도68, 1), 12-제50구역 2섹터 제1인공층 아-5-5`방안(2015-도824, 2)
도면 952 | 크라스키노성 출토 시루 Ⅰ-1형식(1), Ⅰ-2형식(2), Ⅰ-3형식(3), Ⅰ-4형식(4,5): 1-제47구역 2섹터 제11인공층 아-19방안(2015-도494), 2-제40구역 제12~18인공층 13호 주거지 베,붸-21, 예-21,22방안(2009-도468), 3-제44구역 제10인공층 예-25방안(2014-도162), 4-제40구역 제14인공층 11호 수혈 내부(2009-도420), 5-제44구역 제8인공층 엘-24방안(2014-도115)
Ⅰ-2형식. 바닥의 가장자리에 6개의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이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가운데에 큰 구멍이 1개 배치된 것이다. 2009년에 제40구역에서 출토된 것은 시루 바닥이 일부 결실되기는 하였으나 전체적인 양상은 잘 확인된다. 이 시루 바닥은 크기가 직경 약 19.7㎝, 가운데 구멍 직경 약 5.8㎝, 가장자리 구멍 직경 약 2.0㎝이다(도면 951, 3; 952, 2).
Ⅰ-3형식. 1점이 확인된다. 바닥에 구멍들이 일부씩만 남아 있지만 원래는 가운데에 상대적으로 큰 구멍이 하나 있고, 그 둘레에 4개의 작은 구멍이 배치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루의 저경은 21.5㎝이고, 가운데 구멍은 직경이 약 4.7㎝, 그 둘레의 구멍은 직경이 약 2.5㎝로 추정된다(도면 951, 4; 952, 3).
Ⅰ-4형식. 바닥의 가장자리와 가운데에 배치된 구멍이 모두 원형이고 또 크기가 비슷한 것이다. 2009년에 제40구역에서 출토된 것은 저경이 26.6㎝이고, 바닥에 있는 구멍의 직경이 약 5㎝이다(도면 951, 5; 952, 4), 2014년에 제44구역에서 출토된 시루는 저경이 22㎝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갈색이다(도면 951, 6; 952, 5). 1999년에 출토된 1점도 이 형식에 속할 것으로 생각된다(도면 951, 7).
그 외에도 3점의 편 상태로 출토된 Ⅰ형식에 속하는 시루 저부가 보고되었다. 그중의 1점은 구멍이 1개만 일부 남아 있는데 저경은 24㎝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며, 표면에 수평 띠 모양의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도면 951, 8; 953, 1). 다른 1점은 저경이 21.6㎝이고, 속심은 명회색,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951, 9; 953, 2). 다른 1점은 바닥에 뿐만 아니라 동체 기저부에도 구멍이 만들어져 있다. 이 시루는 저경이 27.4㎝이다(도면 951, 10).
도면 953 | 크라스키노성 출토 시루: 1-제47구역 3섹터 제9인공층 아-30방안(2014-도604-1), 2-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게-30방안(2014-도697, 5), 3-제50구역 2섹터 제1인공층 아-5-5`방안(2015-도809, 810)
시루로 보고된 1점은 구연-동체 윗부분이다(도면 951, 11). 직경이 4~5㎝인 시루 구멍이 있는 바닥이 함께 출토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구연은 크게 외반하였고 거의 수평을 유지한다. 어깨 부분에 대상파수가 부착되어 있다. 구경은 45.5㎝, 동최대경은 41.6㎝이며, 기벽의 두께는 0.9~1㎝이다.
시루로 보고된 다른 1점은 내면에 전이 달려있다. 전은 동최대경 높이에 위치한다. 기벽은 완만하게 내만 호선을 이루고 있고, 구연부는 사선 방향으로 외반하였는데 약간 도톰해졌다. 동최대경 아랫부분에는 대상파수가 부착되어 있다. 구경은 52㎝이고, 외면에 수평 띠 마연이 되어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951, 12; 953, 3).
Ⅱ형식 시루 구멍이 있는 바닥은 편 상태인 3점이 보고되었다. 모두 바깥쪽 직경이 약 0.5㎝이고 안쪽 직경이 약 0.3㎝인 작은 구멍들을 조밀하게 배치하였다. 모두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해 구멍을 내었는데 안쪽은 구멍 둘레가 바닥의 표면 위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2002년에 제30구역에서 편 상태 1점(도면 954, 1)과 2003년에 제31구역에서 편 상태 2점(도면 954, 2, 3)이 각각 출토되었다.
도면 954 | 크라스키노성 출토 시루 Ⅱ형식: 1-제30구역 붸-베-6방안(2002-도82), 2-제31구역 제6인공층 줴-6방안(2003-도90), 3-제31구역(2003-도115)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4) 시루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12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