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망이산성

望夷山城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삼국시대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이천시 율면 산양리/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금산리/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2.08km
입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이천시 윰면,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있는 망이산(해발 472m)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토루로 된 내성은 백제가, 석축 외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성된 이후 고려초 광종 때 대대적인 개수가 이루어져 조선시대까지 봉수대 등이 운영되었다. 외성은 둘레가 2,080m로, 4개의 성문터와 5개의 치가 확인되었다. 서문지에서는 준풍사년명 기와가 출토되어 서쪽 성문의 최종 개축이 963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성에서는 관(官)자명 기와가 수습되어 고구려와의 관련성이 제기되었으나, 고구려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출토유물
* 신라 토기, 신라 기와
참고문헌
「남한의 고구려유적」, 2006
해설
경기도 이천시, 안성군, 충청북도 음성군의 경계에 있는 해발 472m 망이산[현 마이산(馬耳山)] 정상에 축조된 성곽유적이다. 봉수대로만 인식되었으나 1980년 단국대학교 조사단에 의해 고구려의 남진기지 산성으로 추정되었다. 1993년 6월 3일 경기도 기념물 제138호 망이산성(望夷山城)으로, 2003년 4월 11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128호 음성 망이산성(陰城 望夷山城)으로 지정되었다.
망이산은 차령산맥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며 북으로 한강유역, 서쪽으로 서해안, 동남방향으로 충주 등을 거쳐 영남지방으로 나아갈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다. 이곳에 산 정산을 중심으로 사방의 적으로부터 방어를 위한 산성을 정상에서부터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서 쌓았다.
망이산성은 내성과 외성 두 겹으로 이루어진 2중성이다.
안쪽의 내성은 흙으로 쌓았는데, 현재 확인이 가능한 성벽의 길이는 약 250m이다. 북쪽으로 문터로 추정되는 자리와 샘이 발견되었고, 주변에서 기와와 그릇 편들이 흩어져 있다.
외성은 주변 봉우리들의 능선을 따라서 약 2,080m이며, 돌로 쌓았다. 외성에는 서남·서북·동남·서쪽 총 4개 지점에서 문터로 추정되는 자리가 확인되었으며, 성벽 일부를 돌출시킨 치성(雉城)으로 추정되는 구조물도 서북·북·동·남·서남쪽 5개소에서 확인되었다.
외성의 축조방식은 지형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 외벽을 높게 쌓고 내벽은 흙을 높게 다져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한 소위 내탁(內托)방식을 취한 것은 전 구역에서 확인되었다. 이 도로를 따라 사람과 말, 수레까지도 성벽을 따라 왕래가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부에는 봉수대 터가 남아 있는데, 단양 죽령과 충주 조령을 넘은 봉수로와 추풍령을 넘은 봉수로가 소백산맥 이북 지역에서 합쳐지는 가장 중요한 봉수대였다. 조선시기 기록에서도 이 봉수는 죽산현 봉수대로서 영남과 중부 내륙의 봉수를 받아 죽산 건지산(巾之山), 진천 소을산(所乙山), 음성 가엽산(伽葉山) 봉수와 연결되고, 도성으로 올리는 중요 봉수로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충주목 봉수조에 망이산성 봉수로신증동국여지승람 제14권>충청도(忠淸道)>충주목(忠州牧),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망이성 봉수로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에도 망이산성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광범위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유물 중 철제 갑옷 편이나 주조틀에 부어 만든 도끼 등이 주목되지만, 성곽의 축조시기를 유추할 만한 결정적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축조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만 내성은 백제시기에, 외성은 통일신라 후기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삼국통일전쟁이 격화되는 시기, 신라 선덕여왕이 백제를 방어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한편 외성에 고구려 양식의 치성이 있음을 토대로 고구려 산성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망이산성은 조성시기나 역할에 대하여 여전히 불명확하지만, 지정학적 중요도와 성곽유형, 봉수대의 중요성 등으로 비추어 볼 때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 유적이라 할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망이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20_009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