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보정동고분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삼국시대
  • 원소장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산93-9, 901-3 일대, 산 121-2 일원,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백운산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소실봉의 서쪽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보정리 들판이 위치하며, 남에서 북으로 탄천이 흐르고 있다.
유적개관
2기의 횡혈식 석실분으로, 모두 반지하식으로 축조되어있다. 1호분은 전체적인 크기가 동서길이 5.6m, 남북길이 4m이며, 석실의 크기는 동서 2.6m, 남북 1.7m, 높이 1.5m이다. 석실바닥은 판상형의 할석을 깔고 사이의 공간은 점토를 채워놓았지만 특별한 시상구조는 없다. 바닥의 남동쪽에 목관을 설치했던 흔적이 보인다. 천장은 삼각 고임식이다. 2호분도 1호분과 유사한 장방형 구조이다. 연도는 우편재이다.
출토유물
* 고구려 토기, 관정, 관고리
해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는 산 93-9번지 보정동 소실고분군, 901-3번지 보정동 고구려고분군, 산 121-2 일원에는 보정동 삼막골고분군이 위치해 있다. 이들 고분군은 서로 멀지 않아, 소실 고분군에서 남쪽으로 1100m 떨어진 곳에 고구려고분군이, 그로부터 남쪽 100m 지점에 삼막골고분군이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유적으로 명칭하기도 하고, 이들 모두를 보정동고분군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세 고분유적 모두 도로공사 혹은 건축 과정에서 발굴조사되었기 때문에 그 범위가 한정적이며, 발굴조사에도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이들 유적들이 한 개의 권역에 있는 고분군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소실고분군은 소실봉 인근에 위치하는데, 아파트 신축공사를 위한 벌목작업 중 발견되었다. 소실유적에서는 백제 주거지 7기, 신라 석실묘 15기와 석곽묘 6기, 통일신라 석실묘 1기를 비롯하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주거지와 묘 등 총 127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이중 신라의 묘제는 신라가 한강유역에 진출한 이후의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고분군은 건축부지 조성 과정에서 발견되었는데 고구려 계통의 횡혈식 석실묘 2기로 약 17m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었으며 무덤의 유형 및 크기, 축조 방법이 거의 동일하다. 천정은 고구려식의 모줄임형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출토 토기가 고구려 계통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두 기 의 고분을 고구려고분군으로 명명하고 있다.
삼막골고분군은 2002년 경기도 용인시 지표조사 때 다수의 고분이 발견되어 정밀 지표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매장주체부가 노출된 30여기의 고분과 고분일 가능성이 있는 50여기가 조사되었으나 대부분 도굴과 유실로 훼손되었다. 2차에 걸친 발굴 결과 신라석실묘 2기, 통일신라 석실묘 및 석곽묘 16기와 함께 원삼국, 조선시대 분묘도 확인되었다. 신라의 묘의 경우 그 규모로 보아 지방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이들 유적에서 좁게 흐르는 탄천을 건너면 수백미터 반경 안에 용인 마북동 주거유적이 있어 양자 간의 관계가 주목된다.
보정동에서 발견된 고분들은 인근 주거유적들과 함께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전과 그 안에서 살아가던 삼국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다만 토지 개발을 위한 구제 발굴로 인해 유적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부족한 점이 아쉽다. 용인시에서는 2016년 9월부터 한 달간, 복원한 보정동 고분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하였다.
유적은 2009년에 용인 보정동 고분군으로 사적 제500호로 지정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보정동고분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20_007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