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왜적을 물리치고 조서를 내린 황제를 치하하는 조선국왕의 표문(表文)

36. 本國賀平寧夏表
  • 발송일
    1593년 2월 10일(음)(만력 21년 2월 10일)
조선국왕 신 성(姓) 휘(諱)는주 001
각주 001)
원문은 ‘臣姓諱’라고 되어 있다. 원래 명에 전달한 문서에는 ‘臣 李昖’으로 기재되어 있었을 것이다. 『사대문궤』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피휘한 것이다.
닫기
아룁니다. 만력(萬曆) 21년(1593) 2월 4일 요동도사의 차래통사(差來通事) 백호(百戶) 계연방(桂聯芳)이 받들어 가지고 온 조서등황 1통을 본국(조선)에 먼저 보내 주셔서 삼가 준수하여 개독(開讀)하는 외에 신은 진실로 두렵고도 기뻐서 고개를 조아리고 또 조아리며 삼가 표를 바쳐 칭하(稱賀)드립니다. 삼가 생각건대 인자무적(仁者無敵)이라고 하였으니 이미 한 번 노하는 위엄을 보여 왕사(王師)의 정토를 내어 잠깐 사이에 세 차례의 승첩[三捷]을 치계(馳啓)하니 화(華)와 이(夷)를 진동시키고 조야가 환호하였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황제 폐하께서는 -황첨(黃籤)주 002
각주 002)
황제 폐하라는 문구를 노출하지 않기 위하여 누런색 첨지로 붙인다는 뜻의 細註이다.
닫기
- 굳건함으로 중도(中道)에 거하였고 은위(恩威)로 아랫사람을 다스리시어 성교(聲敎)가 외방을 교화함에 미쳐서는 덕이 9주[九圍]에 스며들었으며 군사를 제어함에 기미에 대처함[幾先]을 요체로 삼으셔서 만리 밖까지 훤히 살피셨습니다.주 003
각주 003)
漢 광무제가 河西의 竇融에게 친서를 보내어, 그가 두융의 실정을 꿰뚫어 보는 것 같이했다. 이에 하서 사람들이 말하기를, “천자는 만리까지 밝게 보는구나.”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23, 竇融傳.
닫기
그런데 역수(逆豎)들이 감히 멋대로 흉계를 꾸며 웅번(雄藩)에 의지하여 명성을 구하고 화를 즐거움으로 삼아 거짓 격문(檄文)을 날려 뭇사람들을 겁주기를 하늘을 속일 수 있다고 말할 줄을 어찌 생각했겠습니까. (그러나) 이제 태산이 알을 누르는 것과 같은 위세를 여지없이 행하였으니 누구인들 터전을 닦아 놓았다 하여 무너지지 않았겠습니까. 황천[皇穹]이 조용히 도우시어 다시 강역의 안정을 내리시니 성무[聖武]를 밝게 베푸시어 신인[神人]의 공분을 쾌히 씻어 주셨습니다. 성공이 묘당(廟堂)의 계책에 달려 있었다고 하나 결단은 폐하의 마음속으로부터 나왔으니, 삼가 생각건대 신은 융성한 시기를 만나 외람된 은혜를 입었습니다. (다만) 드높은 천조[叢霄]의 조회에 옥백(玉帛)이 모이고 있음에도 달려가 바치는 예를 행하지 못합니다. 사해에 문자와 수레바퀴가 통하고 있으니 멀리서 간절한 마음으로 축하를 드릴 뿐입니다. 신은 하늘을 바라보고 성총(聖聰)을 우러러 격절함과 황공함이 지극함을 가누지 못하고 삼가 표를 바쳐 칭하하며 아룁니다.
 
만력 21년 2월 10일.
조선국왕 신 성(姓) 휘(諱)는 삼가 표문을 올립니다.

  • 각주 001)
    원문은 ‘臣姓諱’라고 되어 있다. 원래 명에 전달한 문서에는 ‘臣 李昖’으로 기재되어 있었을 것이다. 『사대문궤』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피휘한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황제 폐하라는 문구를 노출하지 않기 위하여 누런색 첨지로 붙인다는 뜻의 細註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漢 광무제가 河西의 竇融에게 친서를 보내어, 그가 두융의 실정을 꿰뚫어 보는 것 같이했다. 이에 하서 사람들이 말하기를, “천자는 만리까지 밝게 보는구나.”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23, 竇融傳.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왜적을 물리치고 조서를 내린 황제를 치하하는 조선국왕의 표문(表文) 자료번호 : sdmg.k_0001_0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