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포로가 된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의 처지를 호소하며 조선국왕이 제독부(提督府)에 보내는 자문(咨文)

40. 請出檄文全還王子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3년 2월 11일(음)(萬曆二十一年二月十一日)
  • 출전
    事大文軌 卷3: 43a-44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87~89쪽
40. 請出檄文全還王子주 001
각주 001)
본 문서는 『선조실록』에 요약된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宣祖實錄』 卷35, 宣祖 26年 2月 丙申(11日)).
닫기
 
朝鮮國王,
爲 懇訴情, 悃冀紓憫迫 事.
 
該本月初四日, 據 咸鏡道觀察使尹卓然 馳啓.
備迤南各州郡, 節次申報.
各處住賊, 俱聚徒衆, 向往咸興府, 又將曾被擄王子臨海君順和君, 幷原隨陪臣原任議政府左議政金貴榮判中樞府事黃廷彧原任承政院右承旨黃赫, 裏擄前到本府, 將一時被擄會寧鎭節制使等官文夢軒等, 一十餘人殺死, 其二王子及見跟陪臣等, 牢固防守, 備極困辱, 勢益危逼, 終難完保. 等因.
得此. 當職爲照, 小邦久被賊禍, 槍殺焚燒, 殆無紀極, 不期, 當職二子, 亦被伊賊搶去, 久縶賊營, 覊留不放, 百計圖出, 終無善策, 晝夜痛泣, 罔知攸爲. 今因大兵, 旣克平壤, 轉向京城, 勢若摧枯, 朝夕當勦. 伊賊兇虐, 情固叵測, 終當逃遁, 自應逼割, 其勢誠爲岌岌. 當職仍念, 督府聲望, 已播賊衆, 怛威裭魄, 旣致挫衂, 今又兵分向北, 先聲自曁, 亦必震慄. 倘蒙寫出檄文一通, 詞備誘愶, 嚴示禍福, “如以本國王子二人, 幷各眷聚跟官等, 使得全還, 固當貸汝不死, 仍加褒賞, 如或違悖天道, 怙負不伏, 當提兵直擣, 必殺不饒” 等詞, 反覆據理, 峻辭哄愶, 以示賊衆, 亦有効順之理. 當職痛迫私情, 不避煩瀆, 玆敢咨請, 煩爲照驗救命施行. 須至咨者.
右咨提督府.
 
萬曆二十一年二月十一日.

  • 각주 001)
    본 문서는 『선조실록』에 요약된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宣祖實錄』 卷35, 宣祖 26年 2月 丙申(11日)).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포로가 된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의 처지를 호소하며 조선국왕이 제독부(提督府)에 보내는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1_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