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5. 맺음말

2014년도의 발굴조사는 성의 북서쪽 부분에 위치하는 주거구역(제44구역)과 성의 북쪽 부분에 위치하는 도로 지역(제47구역과 제49구역)에서 모두 3개 구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제44구역에서는 발굴조사를 통해 4개 건축면에서 속하는 유구들이 노출되었다. 위의 2개 건축면은 2010년도, 2012년도, 그리고 2013년도에 조사된 바 있다.
제3건축면에는 다음의 유구들이 해당된다. 23호 주거지, 이 주거지는 2012년도와 2013년도에 이미 조사를 시작하였다. 기둥 구조를 가진 건물 유구, 2개의 노지가 있는 유구, 경제적인 용도를 가졌을 1호 수혈(면적 3㎡이상, 깊이 0.5m까지)과 2호 수혈(면적 3.5㎡ 이상, 깊이 0.25m까지), 10개 이상의 다양한 용도의 구덩이, 배수 도랑.
제4건축면에는 14호, 15호, 24호 주거지, 베’(Б’)-붸’(В’)-19-20방안의 유구, 붸’(В’)-게’(Г’)-17, 18방안의 유구 등 5개 유구가 해당된다. 그중 14호와 15호 주거지는 2009년도에 제40구역에서 일부씩 조사된 적이 있다. 제5건축면에서는 다음의 몇몇 유구들이 조사되었다. 2009년도에 제40구역에서 조사가 시작된 바 있는 13호 주거지, 이 주거지에 속하는 경제 건축물, 몇 개의 구덩이, 경제적 용도의 수혈 2개(한 수혈은 면적이 6.24㎡에 깊이는 0.1m 이하이다).
제6건축면에서는 3개의 유구가 조사되었는데 붸(В)-예(Е)-23-26방안의 지상 경제 건축물(16.45㎡), 줴(Ж)-까(К)-23-26방안의 일부가 제9구역에도 위치하는 수혈(깊이 50㎝까지), 그리고 붸’(В’)-아(А)-21-26방안의 유구가 바로 그것이다.
제5건축면과 제6건축면의 유구들은 크게 훼손이 되었는데 위 건축면의 주민들과 화재로 인한 것이다. 이 점은 유구들의 경계를 구분해내는 데에, 그리고 제44구역 내부와 이웃 구역들에서의 건축면들과의 관계를 파악해내는 데에 큰 어려움을 주었다.
크라스키노 성의 북서쪽 부분에 위치하는 제44구역에서는 유구의 대부분이 모든 건축면에서 방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2014년도의 중요한 발견은 과거 생각하였던 5개 건축면에서 하나가 더 늘어난 6개 건축면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었다. 이는 이 부분에서의 유적 형성이 보다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났음을 의미하며, 새로이 발견된 유구들과 성의 다른 구역들에서 발견된 유구들과의 편년적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유적 북쪽 부분에서의 발굴조사는 돌 포장이 된 도로가 있는 2개 발굴구역에서 실시되었다. 비록 제47구역에서의 발굴조사가 최종적으로 완료된 것은 아니지만 도시 존속의 여러 단계에 있어서의 도시 내부 구조에 대해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도시 북쪽 부분에서는 내부 구조가 크라스키노 성과 같은 주(州) 중심지의 모든 존속 기간 동안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그 위상은 도시를 북에서 남으로 관통하는 도로의 제4 건축면에서 이미 변화를 보였는데 돌로 포장된 것이다. 이 사실은 도시 행정부의 공적 업무의 계획과 조직을 반영한다.
도로 부근에서는 도시 주민들에 의한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일어났는데 이 역시 도로 자체와 그 부근의 발굴 자료에 반영되어 있다. 도로를 마른 상태로 유지하고 수혈의 구덩이를 메우는 데에 동물 뼈와 다량의 토기편, 그리고 깨진 기와편을 포함하는 생활 쓰레기들이 사용되었다.
도로 부분에서 출토된 다량의 놀이 알은 이 도시(성)와 극동의 다른 도시(성)들에서 가지는 놀이 알의 사회적 및 문화적 의미를 말해준다. 그 도시들에서 거리는 주요 시장이었고 그곳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였을 것이다. 그중에는 고누와 공기놀이를 연상시키는 당시 유행하였던 놀이를 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것이다.
제49구역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처음으로 2개의 도로 및 그 두 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로가 동시에 확인되었다. 돌 포장이 된 도로 노면의 최대 너비는 가장 잘 남아 있는 부분이 250㎝이다. 한도로는 주축이 북-남 방향으로 나 있고, 다른 한 도로는 주축이 서-동 방향으로 나 있다. 따라서 크라스키노 성에서 북쪽 부분의 4개 구획의 경계가 한꺼번에 확인된 것이며, 향후의 성 내부 조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제시된 것이다. 도시의 전 구간을 지나는 것으로 생각되는 북-남 방향의 중앙 도로는 사실상 일부만 조사되었다. 1995년도의 측량 결과를 참고하면(도면 5) 이 중앙 도로는 남쪽으로 가면서 더 넓어진다. 측량 도면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향후의 발굴조사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5. 맺음말 자료번호 : kr.d_0012_003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