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삼사(三使)가 에도성(江戸城)에서의 의례(儀禮)

一. 2월 27일 사시(巳時)주 001
각주 001)
오전 9시부터 11시 사이.
닫기
상각(上刻)주 002
각주 002)
일각(一刻, 2시간)을 상·중·하로 삼등분한 데에서 최초의 시각.
닫기
에 앞뜰로 나아가 삼사가 예를 마치고 향응을 행했다.
[석고] 만 석(石) 이상, 만 석 이하, 호이(布衣) 이상의 막부 관리로 출사한 사람들에게 과자(菓子)가 하사되었다.
一. 삼사가 에도성에 들어갈 때 깃대를 든 하관은 오테몬(大手御門)주 003
각주 003)
에도성의 정문 오테몬.
닫기
에서 좌우로 정렬하여서고 상관 이하는 말에서 내리며, 상상관 3인은 게조바시(下乘橋)주 004
각주 004)
에도성 안에 있는 다리의 하나. 등성하는 다이묘가 탈 것에서 내려야하는 다리로, 거기에서 안으로 데리고 갈 수 있는 부하도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닫기
의 끝에서 가마에서 내리고 하관들은 오테몬에 남는다. 게조바시의 문에서 현관 앞에 있는 문까지 대자리(筵)를 깐다. 거기서부터 현관까지 휘갑친 돗자리[薄緣]. 삼사는 나카노고몬(中之御門)에서 가마에서 내린다. 나카노고몬 근처로 응접을 위해 다음 사람들이 나온다.
  담당 접대인
    오메쓰케
    장로 2인
 삼사가 가마에서 내린 후 각자 한 번 읍을 하고 먼저 현관에 이르고, 그때
현관까지 아래의 사람들이 나온다.
    지샤부교(寺社奉行) 4인
    오메쓰케(大目付) 3인
 현관 앞 한 단 낮은 마루까지 마중 나가, 한 번 읍을 하고 안내하여 삼사와 덴조노마(殿上之間)의 아랫단 미닫이 부근에 북향으로 앉다. 상상관은 서쪽 장지 부근으로 나가고, 쓰시마노카미는 삼사가 앉은 자리의 맞은편에 자리한다. 상판사 이하는 곁방에, 차관·소동은 쓰시마노카미의 가신과 같이 툇마루(緣頰)주 005
각주 005)
엔가와(縁側·椽側·縁頬). 방의 바깥쪽에 만들어 놓은 툇마루. 복도 혹은 바닥에서 방(또는 마루로)으로 올라가는 입구로 이용된 일본 가옥 특유의 공간. 바깥과 경계 부분에 덧문(雨戸)이나 유리문을 세우기도 하며, 그런 것 없이 눈과 비에 그대로 노출되는 툇마루를 누레엔(濡れ縁)이라 한다. 에도시대에는 등성한 무사들의 대기소, 알현 등이 행해진 장소이기도 하다. 에도성 안에 오히로마(大廣間), 기쿠노마(菊之間), 御黒書院, 御白書院, 御右筆部屋 등에 엔가와가 설치되어 있었다.
닫기
로 나가며, 중관들은 현관 앞 마당으로 나간다.
 국서가 보관된 가마는 나카노몬에서 상상관이 가마에서 꺼내어, 삼사보다
먼저 출발하여 건물 안으로 들어가고, 국서 상자는 덴조노마(殿上之間)의 바닥에 놓는다.
一. 예물은 전날 보낸다.
一. [쇼군에게 예물로 가져온] 말은 우마아즈카리(馬預)주 006
각주 006)
우마아즈카리(馬預)는 관마(官馬)의 조련, 쇼군이 다이묘나 하타모토에게 하사하는 말의 사육 등 마구간 업무 일체를 관장하는 관직. 휘하에 우마카타(馬方), 우마노리(馬乗) 등을 두었다.
닫기
가 가포의(假布衣)를 입고, 후쿠도네리(副舍人)주 007
각주 007)
①舍人(도네리)는 율령제(律令 制)에서 황족이나 귀족을 모시며 호위, 잡용 등에 종사한 하급관리 ②우차(牛車)의 소몰이나 승마의 마부.
닫기
·하쿠테이(白丁)주 008
각주 008)
하급관리가 귀족 관인과 동반할 때 착용하는 흰색의 마 가리기누(狩衣)를 하쿠테이라고 부르며, 또는 그것을 착용한 하급관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닫기
·우마카타(馬方)주 009
각주 009)
우마카타(馬方)는 말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우마아즈카리(馬預)보다 아래의 직책.
닫기
가 삼사가 예식의 자리로 나가는 때를 헤아려 무대 앞의 뜰로 보실 수 있도록 끌고 간다.

  • 각주 001)
    오전 9시부터 11시 사이. 바로가기
  • 각주 002)
    일각(一刻, 2시간)을 상·중·하로 삼등분한 데에서 최초의 시각. 바로가기
  • 각주 003)
    에도성의 정문 오테몬. 바로가기
  • 각주 004)
    에도성 안에 있는 다리의 하나. 등성하는 다이묘가 탈 것에서 내려야하는 다리로, 거기에서 안으로 데리고 갈 수 있는 부하도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엔가와(縁側·椽側·縁頬). 방의 바깥쪽에 만들어 놓은 툇마루. 복도 혹은 바닥에서 방(또는 마루로)으로 올라가는 입구로 이용된 일본 가옥 특유의 공간. 바깥과 경계 부분에 덧문(雨戸)이나 유리문을 세우기도 하며, 그런 것 없이 눈과 비에 그대로 노출되는 툇마루를 누레엔(濡れ縁)이라 한다. 에도시대에는 등성한 무사들의 대기소, 알현 등이 행해진 장소이기도 하다. 에도성 안에 오히로마(大廣間), 기쿠노마(菊之間), 御黒書院, 御白書院, 御右筆部屋 등에 엔가와가 설치되어 있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우마아즈카리(馬預)는 관마(官馬)의 조련, 쇼군이 다이묘나 하타모토에게 하사하는 말의 사육 등 마구간 업무 일체를 관장하는 관직. 휘하에 우마카타(馬方), 우마노리(馬乗) 등을 두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①舍人(도네리)는 율령제(律令 制)에서 황족이나 귀족을 모시며 호위, 잡용 등에 종사한 하급관리 ②우차(牛車)의 소몰이나 승마의 마부. 바로가기
  • 각주 008)
    하급관리가 귀족 관인과 동반할 때 착용하는 흰색의 마 가리기누(狩衣)를 하쿠테이라고 부르며, 또는 그것을 착용한 하급관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9)
    우마카타(馬方)는 말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우마아즈카리(馬預)보다 아래의 직책.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사(三使)가 에도성(江戸城)에서의 의례(儀禮) 자료번호 : kn.k_0006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