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槃木白狼, 慕化於永平之際.

槃木白狼, 慕化於永平之際주 001
각주 001)
원문 「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際」로 교감. 「年」과 대구를 이루므로 문맥에 맞게 「際」로 교감.
닫기
.
後漢書曰: “莋都夷者, 武帝所開, 以爲莋都縣. 其人皆被髮주 002
각주 002)
원문 「髻」. 탕천본·길림본 「髮」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는 통하지만, 「左袵」과 함께 이른바 미개한 습속에 대한 표현이므로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髮」로 교감.
닫기
左袵주 003
각주 003)
원문 「祚」. 죽내본 「衽」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袵」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袵」으로 교감.
닫기
, 言語多好譬주 004
각주 004)
원문 「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譬」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譬」로 교감.
닫기
類. 居處略與汶山夷同. 土長年神藥, 仙人山圖주 005
각주 005)
원문 「圎」.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圖」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圖」로 교감.
닫기
所居焉. 元鼎주 006
각주 006)
원문 「祝▼{曷+斤}」. 죽내본 「元▼{曷+斤}」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元鼎」으로 교감. 연호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元鼎」으로 교감.
닫기
六年, 以爲沈黎주 007
각주 007)
원문 「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黎」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黎」로 교감.
닫기
郡, 至天漢四年, 幷蜀爲西部, 置兩部주 008
각주 008)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都」로 교감. 部都尉의 약칭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都尉」로 되어 있다.
닫기
尉, 一治旄주 009
각주 009)
원문 「施」.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旄」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旄」로 교감.
닫기
牛, 主徼주 010
각주 010)
원문 「儌」. 탕천본·길림본 「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徼」로 교감.
닫기
外夷, 一治靑衣, 主漢주 011
각주 011)
원문 「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漢」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漢」으로 교감.
닫기
人. 永平中주 012
각주 012)
원문 「永平中平」.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永平中」로 교감. 연문으로 보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永平中」로 교감.
닫기
, 益州刺史梁國朱輔, 好立功名, [在]州주 013
각주 013)
원문 「州」. 죽내본 「□州」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在州」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在州」로 교감.
닫기
數歲, 宣주 014
각주 014)
원문 「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宣」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宣」으로 교감.
닫기
示漢德, 威懷遠夷. 自汶주 015
각주 015)
원문 「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汶」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汶」으로 교감.
닫기
山以西주 016
각주 016)
원문 「西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以西」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以西」로 교감.
닫기
, 前代所不至, 正朔所不加. 白狼槃木庿주 017
각주 017)
원문 「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唐」으로 교감. 해당 국명의 유래와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唐」으로 되어 있다.
닫기
菆等百有餘國, 戶百三十餘萬, 口六百萬以上, 擧種奉貢也.”

  • 각주 001)
    원문 「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際」로 교감. 「年」과 대구를 이루므로 문맥에 맞게 「際」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髻」. 탕천본·길림본 「髮」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는 통하지만, 「左袵」과 함께 이른바 미개한 습속에 대한 표현이므로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祚」. 죽내본 「衽」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袵」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袵」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譬」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圎」.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圖」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祝▼{曷+斤}」. 죽내본 「元▼{曷+斤}」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元鼎」으로 교감. 연호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元鼎」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黎」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都」로 교감. 部都尉의 약칭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都尉」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施」.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旄」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旄」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儌」. 탕천본·길림본 「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漢」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漢」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永平中平」.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永平中」로 교감. 연문으로 보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永平中」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州」. 죽내본 「□州」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在州」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在州」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宣」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宣」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汶」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汶」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西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以西」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以西」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唐」으로 교감. 해당 국명의 유래와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唐」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槃木白狼, 慕化於永平之際. 자료번호 : hw.m_0002_012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