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백제가 임나의 부흥에 대해 논의함

12월에 백제의 성명왕이 다시 이전의 조서를 군신에게 두루 보이며 “천황의 조칙이 이와 같다. 어찌하면 좋은가.”라고 물었다. 상좌평(上佐平) 사택기루(沙宅己婁) 주 001
번역주 001)
沙宅은 백제의 대성8족 중의 하나인 沙씨에서 분화된 성이다. 己婁는 이름이다.
닫기
, 중좌평(中佐平) 목리마나(木刕麻那) 주 002
번역주 002)
『日本書紀』 무열천황 6년(504) 동10월조의 麻那君, 계체천황 23년(529) 3월 시월조의 麻那甲背와 동일인이다.
닫기
, 하좌평(下佐平) 목윤귀(木尹貴) 주 003
번역주 003)
『日本書紀』 계체천황 23년 3월 시월조에는 將軍君尹貴로 나온다.
닫기
, 덕솔 비리막고(德率鼻利莫古), 덕솔 동성도천(德率東城道天)주 004
번역주 004)
東城은 백제의 성, 道天은 이름이다.
닫기
, 덕솔 목리미순(德率木刕眯淳), 덕솔 국수다(德率國雖多)주 005
번역주 005)
國은 백제의 대성8족 중의 하나이며, 雖多는 이름이다.
닫기
, 나솔 연비선나(奈率 燕比善那)주 006
번역주 006)
燕比는 燕씨의 복성이며, 善那는 이름이다.
닫기
등이 의논하여 “신들은 품성이 우매하고 어리석어 모두 지략이 없습니다. 임나를 세우라는 조칙은 속히 받들어야 합니다. 지금 임나의 집사와 각 국의 한기들을 소집하여 같이 모의하여 표를 올려 뜻을 전하십시오. 또한 하내직, 이나사, 마도 등이 계속 안라에 머물러 있으면주 007
번역주 007)
『日本書紀』 흠명천황 5년(544) 2월조에는 河內直, 移那斯, 麻都의 선조로서 那干陀甲背, 加臘直岐甲背가 나온다. 그리고 同 3월조에는 麻都가 韓腹에서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서 보면 3인의 본거지는 모두 한반도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安羅 이외의 가야지역으로 생각된다.
닫기
아마도 임나를 세우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울러 표를 올려 본거지로 옮기도록 부탁하십시오.”라고 대답하였다. 성명왕이 “군신들이 의논한 것이 실로 과인의 마음과 같다.”라고 말하였다.

  • 번역주 001)
    沙宅은 백제의 대성8족 중의 하나인 沙씨에서 분화된 성이다. 己婁는 이름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日本書紀』 무열천황 6년(504) 동10월조의 麻那君, 계체천황 23년(529) 3월 시월조의 麻那甲背와 동일인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日本書紀』 계체천황 23년 3월 시월조에는 將軍君尹貴로 나온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東城은 백제의 성, 道天은 이름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國은 백제의 대성8족 중의 하나이며, 雖多는 이름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燕比는 燕씨의 복성이며, 善那는 이름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日本書紀』 흠명천황 5년(544) 2월조에는 河內直, 移那斯, 麻都의 선조로서 那干陀甲背, 加臘直岐甲背가 나온다. 그리고 同 3월조에는 麻都가 韓腹에서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서 보면 3인의 본거지는 모두 한반도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安羅 이외의 가야지역으로 생각된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성명왕, 사택기루(沙宅己婁), 목리마나(木刕麻那), 목윤귀(木尹貴), 비리막고, 동성도천, 목리미순, 국수다, 연비선나, 하내직, 이나사, 마도, 성명왕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가 임나의 부흥에 대해 논의함 자료번호 : ns.k_0032_0050_004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