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성의 북쪽 부분에서 2017년도의 새로운 발굴 기간에는 2015년에 조사한 제50구역의 남쪽으로 확장을 하여 제53구역을 설정하였다. 2015년도 발굴조사에서는 동-서 방향의 도로를 노출시켰는데, 이 도로는 제49구역에서 발견된 도로가 계속 이어진 것이다. 때문에 제53구역에서의 발굴조사 주요 목적은 2015년도 제50구역에서 노출된 도로와 인접하는 구간에서의 성 건축물들의 배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2017년도의 제53구역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설정되었다. 처음에는 너비가 1m인 둑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섹터로 구분하였다(각 섹터의 크기는 5×10m이다)(도면 321). 나중에 제3인공층을 제거한 다음에는 섹터 2의 남-서 벽 방향으로 확장을 하여 섹터 3을 다시 설정하기로 결정하였다. 섹터 2와 섹터 3 사이에는 너비 1m의 둑을 두었고, 섹터 3의 크기는 5×10m로 하였다(도면 322). 따라서 제53구역의 전체 면적은 두 개의 둑을 포함하여 170m2가 되었다(도면 323). 방안을 표시하는데 사용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문자는 크라스키노 성 북쪽의 제50구역과 다른 구역들에서 사용한 것의 연속선상에서 정하였다.
발굴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섹터 1과 섹터 2에 자라는 풀과 관목을 제거하였고, 그다음에는 발굴구역에 대해 레벨 측량을 하였다. 제53구역의 방안에서 알파벳 문자는 제50구역과의 사이에 둔 둑을 기준으로 북동쪽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정하였다(베(Б)-떼(Т) 방안). 방안에서 아라비아 숫자는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정하였다(5-5'방안). 층위 조사를 위해 세 개의 섹터를 나누고 있는 두 개의 둑을 남겨 놓았다. 두 개의 둑은 줴(Ж)-5'-5방안선과 엔(Н)-5'-5방안선을 따라 설정되었다(도면 323). 제53구역에서의 레벨 차이는 상대적으로 크지가 않으며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섹터 1에서는 10cm까지이고(-116/-126cm), 섹터 2에서는 북서쪽이 약간 높아지는 11cm까지이고(-109/ -121cm), 섹터 3에서는 남동쪽이 심하게 낮아지는 22cm까지이다(-115/ -137cm).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성의 북쪽 부분 발굴조사. 제53구역 자료번호 : kr.d_0014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