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和親結好, 事藉劉敬之謀,

和親結好, 事藉주 001
각주 001)
원문 「籍」. 죽내본·길림본 「藉」, 탕천본 「籍」으로 교감. 문맥상 「藉」으로 교감.
닫기
劉敬之謀,
漢書曰: “高祖時, 匈奴冒頓兵強, 控弦四十주 002
각주 002)
원문 「卅」. 죽내본 「卅」, 길림본 「四十」으로 교감. 『한서』의 내용과 글자 형태를 감안해 「卌」으로 교감하며, 본문에서는 「卌」을 풀어서 「四十」으로 표기함.
닫기
萬騎, 數苦北邊. 帝問敬, 敬曰: ‘天下初定, 士주 003
각주 003)
원문 「土」. 탕천본·길림본 「士」로 교감. 문맥상 「士」로 교감.
닫기
卒罷於兵革, 未可以武服也. 陛下誠能以適주 004
각주 004)
원문 「適」.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嫡」로 교감.
닫기
長公主, 妻單于, 爲閼氏, 使辯士風, 諭以禮節, 冒頓在固爲子聟, 死外孫爲單于. 豈聞外孫與大父無주 005
각주 005)
원문 「兄」, 탕천본·길림본 「亢」으로 판독, 죽내본 「無」로 교감. 문맥상 「無」로 교감.
닫기
禮哉. 可毋戰以漸臣也.’ 帝欲遣주 006
각주 006)
원문 「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遣」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遣」으로 교감.
닫기
長公主, 呂氏泣諫, 乃止而使家人子爲公主, 妻單于. 使敬結和親, 約爲兄弟也.”

  • 각주 001)
    원문 「籍」. 죽내본·길림본 「藉」, 탕천본 「籍」으로 교감. 문맥상 「藉」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卅」. 죽내본 「卅」, 길림본 「四十」으로 교감. 『한서』의 내용과 글자 형태를 감안해 「卌」으로 교감하며, 본문에서는 「卌」을 풀어서 「四十」으로 표기함.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土」. 탕천본·길림본 「士」로 교감. 문맥상 「士」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適」.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嫡」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兄」, 탕천본·길림본 「亢」으로 판독, 죽내본 「無」로 교감. 문맥상 「無」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遣」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遣」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和親結好, 事藉劉敬之謀,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