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크라스키노성의 서북지역 북부에 위치하는 사찰구역은 성 내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다. 이곳에서는 성의 내부가 모두 잘 조망될 뿐만 아니라 성 밖도 사방이 잘 관찰된다. 크라스키노성의 이 지역에1서98 0년에 처음 발굴조사가 시작된 것은 아마도 이러한 지형에 대한 고려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서북지역의 사찰구역은 석축담장과 성벽에 의해 남쪽과 서쪽, 북쪽 경계가 잘 구분된다. 동쪽 경계는 뚜렷하게 구분되지는 못하지만 제31구역의 와실유구와 그 남쪽 제33a구역의 장방형 초석건물이 사찰구역의 동쪽 경계 가까이에 위치한다고 생각된다(도면 1; 2). 이 와실유구와 장방형 초석건물이 사찰과 관련된 유구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곳 동쪽의 제37구역, 제41구역, 제45구역에는 이미 “주거지” 등으로 보고된 유구들이 위치한다.
사찰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는 1980년에 시작되었다. 1980년에는 서문지에서 “북서쪽으로 180m의 거리”에 제1구역과 제2구역을 설정하여 1호 가마터 등의 유구를 조사하였고, 그리고 제2구역의 북서쪽 모서리 부분에서 남서쪽으로 40m 거리에 2.5㎡ 크기의 제3구역을 설정하여 시굴을 하였다. 제3구역의 면적은 2.5㎡에 불과하였지만 정말로 운 좋게 나중에 금당지로 밝혀진 사찰건물의 기와들이 무더기로 쌓여있는 것이 확인되었다(도면 1980-38; 39). 따라서 이후의 발굴조사는 제3구역에서 확인된 금당지와 그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다만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금당지는 사찰구역의 ‘위’ 생활면 금당지이다. 사찰구역에는 ‘중간’ 생활면에서도 금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의 기단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크라스키노성에서 금당지라고 할때에는 ‘위’ 생활면의 것을 지칭하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기 않고 금당지로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그보다 이른 시기의 금당지에 대해서는 중간생활면 금당지로 따로 구분하기로 한다.
금당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1981년에 제5구역에서 실시되었다. 1980년에 시굴을 한 제3구역은 제5구역의 남동쪽 모서리 안쪽에 위치한다. 금당지는 제5구역의 범위 내에 대부분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금당지 가장자리를 따라 분포하는 와적층은 제5구역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고, 또 그 바깥으로 사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단, 사찰 지붕에 얹은 기와를 생산한 가마터들, 사찰에서 사용한 물을 길은 우물터, 전각지 등등이 계속해서 확인되었다. 때문에 사찰구역은 금당지가 있는 제5구역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계속해서 확장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사찰구역에서는 제6구역(1983년), 제7구역(1983년), 제8구역(1990년), 제9구역(1994년), 제10구역(1994년), 제11구역(1995년, 1996년), 제12구역(1995년, 1996년), 제13구역(1997년), 제15구역(1997년, 1998년), 제16구역(1998년), 제17구역(1998년), 제18구역(1998년), 제21구역(1999년), 제22구역(1999년), 제25구역(2000년, 2001년), 제28구역(2001년), 제29구역(2001년), 제30구역(2002년), 제31구역(2003년, 2004년), 제32구역(2005년), 제33a구역(2006년)이 각각 설정되어 발굴이 실시되었다(도면 1; 2). 전체적으로 금당지 주변의 발굴조사는 금당지 남쪽에서 시작하여 남서쪽, 서쪽, 북쪽, 동쪽 방향으로 대체로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사찰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는 1980년에 처음 금당지의 초석과 와적층을 확인한 후 25년 이상의 세월이 흐른 다음인 2006년에 마침내 발굴조사가 종료되었다. 하지만 최근의 주거구역과 도로구역에서 5개 혹은 그 이상의 생활면이 확인됨으로 인해 과거 사찰구역에서 생토로 인식되었던 토층의 밑으로 계속해서 문화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때문에 사찰구역에 대한 재발굴조사가 언젠가는 필요할 것이다.
도면 1 | 크라스키노성 서북지역 구획도
도면 2 | 크라스키노성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과 주변 유구 배치도
사찰구역의 유구는 크게 석축담장, 금당지 및 관련 유구들, 전각지, 방형 초석건물지, 와실유구, 우물, 가마터들, 그리고 기타 유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