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약수리벽화분

藥水里壁畵墳
  • 저필자
    이규호(동국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강서구역 약수리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강서구역 약수리에 위치해 있다. 태성저수지 서북단 구릉 위에
유적개관
1958년에 발굴조사된 고분으로, 언덕의 일부를 깎아내고 반지하에 바닥을 둔 석실을 만들었다. 연도, 동서에 두 개의 감이 달린 전실, 용도, 후실로 이루어진 이실묘로, 연도는 전실 남벽의 동쪽에 약간 치우치게 설치되었다. 전실 서북벽에 잇닿게 제단이 설치되었고, 후실 서북벽에 잇대어 관대를 만들었다. 연도 입구와 전실 북벽 가운데 각각 문을 달았던 흔적이 있다. 전실은 길이 2.66m, 너비 2.84m, 높이 3.22m이고, 후실은 길이 3.42m, 너비 3.12m, 높이 3.5m이다. 전실과 후실 천장은 궁륭삼각고임 구조이다. 무덤 안에는 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며, 주제는 생활풍속 및 사신이다. 벽화는 붉은 선으로 윤곽을 내고 그 안에 색을 입힌 다음 검은 선으로 윤곽선을 다시 넣는 방식으로 그려졌다. 벽화는 행렬도, 수렵도, 생활 모습, 주인공 모습과 사신 등이 그려져 있다. 고분은 5세기 전반경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출토유물
* 순금이식 1쌍, 금반지 1쌍, 은반지 1쌍, 금제장신구 1점, 은머리관정 2점, 철정 24점
참고문헌
약수리벽화무덤발굴보고, 「고고학자료집」3, 1963
「조선유적유물도감」6-고구려편4, 1990
해설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강서구역 약수리 태성저수지 서북단의 구릉 위에 위치해 있다.
1958년에 발굴․조사된 고분으로, 고분은 5세기 전반 경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언덕의 일부를 깎아내고 반 지하에 바닥을 둔 석실을 만들었다. 널길[연도(羨道)], 동서에 두 개의 감(龕)이 달린 앞방[전실(前室)], 묘도, 널방[현실(玄室)]로 이루어진 이실묘로, 널길[연도(羨道)]는 앞방[전실(前室)] 남벽의 동쪽에 약간 치우치게 설치되었다. 널길[연도(羨道)] 밖으로는 경사진 통로를 내고 널길[연도(羨道)] 입구와 널방과 묘도 입구에는 각각 문을 달았다. 앞방[전실(前室)]은 길이 2.66m, 너비 2.84m, 높이 3.22m 이고, 후실은 길이 3.42m, 너비 3.12m, 높이 3.5m이다. 앞방[전실(前室)]과 후실 천장은 궁륭삼각고임 구조이다. 무덤 안에는 회(灰)를 바르고 벽감과 천장부의 3각 굄 부분을 제외한 묘실의 벽과 천장부 전면에 벽화를 그렸다.
널방의 네 벽면에는 도리에 의해 위, 아래로 나뉘어져 널방에는 주인공 부부의 실내생활과 사신을 그렸다. 북벽에는 주인공 부부의 실내생활과 현무, 동벽에는 청룡과 해, 서벽에는 백호와 달, 남벽에는 주작을 배치하였으며 각 벽에는 구름무늬와 별자리들을 그렸는데 그 중 북벽에는 북두칠성이 있다. 또한 북벽에는 성곽도가 그려져 있는데 건물의 묘사를 통해 당시 목조구조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앞방에는 주인공의 대형 행렬도, 대규모 사냥그림, 마굿간, 부엌, 방앗간, 문지기 장수, 외양간, 주인공의 실내생활, 시중꾼들을 그렸다. 벽화는 붉은 선으로 윤곽을 내고 그 안에 색을 입힌 다음 검은 선으로 윤곽선을 다시 넣는 방식으로 그려졌다. 200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약수리벽화분 자료번호 : isea.d_0002_0040_0020_006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