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위패산성

魏覇山城/姑城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위치
  • 관련자료
  • 원소장처
    요녕성 대련시 보란점시 성태향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5,000m
입지
보란점시 성대향 곽둔 북쪽 산에 위치
유적개관
현지에서는 오고성으로도 불리는 곳으로, 현재 위패산성 풍경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성 내에는 명대에 건축된 청천사가 들어서 있다. 성벽이 잘 남아있으며, 다양한 축성기법들을 확인할 수 있다. 성의 둘레는 5km에 달하며, 성벽의 잔존 높이가 9.4~1024m에 달한다. 문은 동, 서, 남문이 있으며, 성 내에는 저수시설과 점장대 등이 존재한다.
참고문헌
「文物地圖集」
해설
중국 요녕성 대련시 보란점시 성태진 동쪽 곽둔촌 포도구 북쪽의 위패산 위에 위치한다. 요동반도 남단, 벽류하(碧流河)의 지류와 닿아 있다. 서북쪽으로 약 30km 거리에 와방점시 득리사산성이 있고, 동북쪽 약 30km 거리에 장하시 성산산성이 있으며, 동쪽으로 약 14km 거리에 흑반향 고려성산성이 위치한다. 동으로 벽류하가 약 22km 거리에 동남으로 벽류하 하구가 29km 거리에 서남으로 백운산성이 11km 거리에 위치한다. 『요동지 遼東志』 등 문헌기록에 따르면 명나라 때까지는 위패산성으로 칭했으나 지금 현지에서는 오고성(吳枯城)으로 불리는데 이전에는 청천산성(淸泉山城)이라고도 하였다.
산성은 해발 420m지점에 위치하는데 두 개의 골짜기를 감싸며 산 능선과 계곡을 가로지르며 청회색의 화강암을 깎아 산세에 따라 쌓았다. 서쪽과 북쪽의 산세가 비교적 험준하고 성 내부의 지세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다. 전체 길이는 약 5km이며 평면은 불규칙한 원형이다. 현재는 동쪽과 북쪽의 성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데, 성벽의 높이는 약 9.4-10.24m이며 윗부분의 너비는 3.29m이다. 동, 서, 남문의 3개의 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 동문이 산성을 출입하는 정문에 해당한다. 동문 오른쪽 성벽의 바닥부분 모퉁이에 성의 물이 흘러나가는 곳인 수구문(水口門)이 있다. 남북쪽 성벽은 산마루를 따라 산성 외곽으로 뻗어 산성을 수호하는 치를 형성하고 있다. 동남 모서리는 높이가 1.5m로 보존상태가 양호한데 성벽의 외벽은 보수하였으나 일부는 허물어져 쐐기형 돌의 뾰족한 부분이 노출되어 있다. 성 남쪽에 ‘점장대 点將臺’라고 칭하는 하나의 돌로 만든 높은 단이 있으며, 서문 안쪽에 ‘음마만 飮馬灣’이라 칭하는 저수지가 있고, 동문 안쪽에는 명나라 때 만들어진 ‘청천사 淸泉寺’라는 절이 있다. 절에는 대전(大殿)과 정전(正殿) 등이 있는데 전각 앞에 청나라 때 중수한 석비 1개가 있는데 여기에 ‘오고성산’으로 개칭한 이유가 새겨져 있다.
산성 내에서 고구려 시대의 붉은색 새끼줄무늬(繩紋)와 그물무늬(网格紋) 기와 조각들이 발굴되어 고구려 시대에 건축된 산성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서문이 있는 곳의 성 내에서 후한 시기 전실묘에서 흔히 보이는 마름모꼴 꽃무늬 전돌(능형화문전 菱形花紋塼) 1점이 발굴되었으며, 청천사 옆쪽에서 돌절구도 1점 발견되었다.
위패산성은 대흑산산성, 득리사산성, 성산산성 등과 함께 요동반도 남부에 축조된 규모가 큰 고구려 군사방어를 위한 성으로 요동반도로 진입하는 적을 막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위패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8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