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칠개정자관애

七個頂子關隘
  • 저필자
    권순홍(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양수향 외차구촌(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凉水鄕 外岔溝村)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150m
입지
중국 길림성 집안시에서 서남쪽으로 65km 떨어진 양수향 외차구촌 서쪽 칠개정자산의 계곡 남단에 위치해 있다. 남쪽 300m 거리에는 계곡 입구가 있다. 계곡 입구에는 남북 폭 300~800m, 동서 길이 1,500m인 충적 대지가 펼쳐져 있는데, 본래 강의 수면보다 4m가량 높았다. 지금은 수풍댐이 만수위에 도달하면 해당 충적 대지는 물에 잠기게 된다. 계곡 앞으로는 압록강이 흐른다.
유적개관
칠개정자 관애는 계곡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북쪽으로 약 300m 들어간 곳에 계곡을 가로질러 축조되어 있는데, 그 형태는 계곡 입구에서부터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천연의 자연 방벽을 이루고 있다. 관애는 주변 산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쌓았는데, 성벽의 방향은 235°이며, 계곡물보다 약 3m가량 높다. 관애 중앙으로 계곡이 관통하고 있어 차단벽은 동벽과 서벽으로 나뉜다. 동벽의 전체 길이는 60m 전후로, 현존 길이는 40m 내외이다. 성벽의 잔존 높이는 2.4m, 기저부 너비는 9~11m이다. 동벽에서 남쪽 8m 지점에는 길이 20m, 너비 3.5m, 잔고 1~1.2m인 보조 성벽이 확인되는데, 참호의 역할을 담당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서벽의 전체 길이는 70~75m가량 되는데, 성벽의 잔존 높이는 0.6~2.2m이며, 기저부 너비는 8.5~10m가량이다. 서벽 동단에는 길이 15m, 너비 4.5m인 낮은 성벽이 확인되고 있는데, 옹성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유물개관
* 등자, 철기, 토기 등
참고문헌
遲勇, 「고구려 중기 도성과 주변방어」, 제27회(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학술세미나 발표자료집, 2009
해설
집안시 소재지 서남쪽 65km 거리의 외차구촌 서쪽에 칠개정자산에 위치한다. 이 산은 노령(老嶺)산맥의 주요 산줄기로서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있다. 이 산줄기는 남쪽으로 압록강 북안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는 고마령(古馬嶺) 등과 이어지면서 60여km 뻗어나가 노령의 주맥으로 연결된다. 이 산줄기 사이에는 길이 15km 정도의 협곡이 있는데 양사면의 계곡이 압록강으로 흘러든다.
칠개정자관애는 칠개정자산 협곡 남단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 200m 거리에 외차구 7대(隊)가 있고, 남쪽 300m 거리에 협곡 입구가 있다. 협곡 어귀에는 남북 폭 300~800m, 동서 길이 1,500m인 충적대지가 펼쳐져 있는데, 강보다 4m 높다. 협곡어귀에서 계곡을 따라 북쪽으로 나아가면, 관애(關隘)가 있는 곳에서 협곡이 좁아지고 천연의 자연방벽을 이루고 있다. 관애는 협곡을 횡단하여 축조하였다. 이러한 형식을 패성(壩城) 혹은 관애(關隘)라고도 부르는데, 패(壩)는 제방의 의미로 곡부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1932년 간행된 지리지에 따르면, 상류부터 순조롭게 흐르던 압록강은 태평향(太平鄕) 강구촌(江口村)을 지나고부터 양안에 험준한 봉우리가 우뚝 솟아나고, 물살이 거세지며 물결도 크게 일기 시작한다고 한다. 강물이 협곡 사이를 좌충우돌하면서 굽이쳐 흐르기 때문에 심한 소용돌이, 급한 물굽이, 암초 등을 만들다가, 유림하(楡林河)와 양수천자하(凉水泉子河) 하구부터 하류 쪽으로 강의 수면이 점차 넓어지고 강물의 흐름도 완만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압록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들은 대부분 외차구하(外岔溝河)나 양수천자하 일대에 정박한 다음 육로를 이용하여 집안으로 나아갔다고 한다. 칠개정자관애는 바로 이러한 상륙로를 봉쇄하기에 적합한 전략적 유충지로서 압록강을 거슬러 국내성으로 나아가는 수상교통로를 통제할 수 있었던 곳이다.
이 관애는 1983년 집안현문물관리소에서 집안현 경내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할 때 발견되었다.
산의 자연석을 많이 이용하였고, 계곡보다 3m 정도 높다. 심하게 허물어져 성벽 단면을 정확히 알 수 없고, 돌들이 양쪽으로 많이 흩어져 외관상 둥그스름한 돌무더기처럼 보인다. 관애 중앙으로 계곡이 관통하기 때문에 관애는 동벽과 서벽으로 나누어진다. 동벽은 도로에 의해 잘려나간 서단부를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전체 길이는 60m 전후인데, 현재 길이는 40~43m, 최고 높이 2.4m, 기저부 너비 9~11m이다. 동벽 남쪽 8m 지점에는 길이 20m, 너비 3.5m, 잔존 높이 1~1.2m인 부벽(副壁)이 있는데, 참호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벽은 동쪽으로 냇가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는 산비탈까지 축조하였다. 전체 길이는 70~75m로서 50m정도가 수평이며, 잔존 높이는 0.6~2.2m, 너비 8.5~10m이다. 서벽 동단에는 길이 15m, 너비 4.5m인 낮은 성벽이 있는데, 옹성(甕城)시설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칠개정자관애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