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미인총

美人墓/JSM1296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산성하고분군(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산성하고분군의 통구하 동쪽 기슭의 충적평원 가운데 위치한다.
유적개관
1913년에 확인된 고분으로, 석실봉토분이다. 현재는 이미 무덤이 모두 훼손되었으며, 잔편으로 보이는 흙무더기만 일부 확인되고 있고, 그 속에 회벽의 잔편들이 산재하고 있다. 석실은 단칸무덤이며, 현실의 왼쪽 벽에 두 명의 여인이 그려져 있어 미인총으로 불린다. 연화문도 일부 확인되었다.
유물개관
철제허리띠
참고문헌
耿鐵華, 「高句麗古墓壁畵硏究」, 2008
해설
미인총은 중국 길림성 통화, 집안 산성하 고분군에 위치한 돌방봉토무덤이며 벽화가 그려져 있다. 미인총이 속해있는 산성하 고분군은 돌무지무덤, 돌방봉토무덤, 놀방봉토 벽화무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구 고분군 중에서 우산하 고분군에 이어 대형 돌무지무덤과 돌방봉토벽화무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무덤만 1582기로 세계 최대의 무덤군이다.
미인총은 1913년 일본인 학자에 의해 처음 조사되었는데 당시에도 무덤의 파괴가 심한 상태였다. 1965년에는 실측조사가 실시되었다. 1993년에 산성하고분군에 대한 조사 및 수리 과정에서는 무덤의 위치나 형태를 확인하지 못하였고 근처에 무덤칸 축조에 사용되었던 돌무지를 발견했을 뿐이다. 돌무지 사이에는 백회 조각이 산재해 있었는데, 백회 조각 가운데 채색의 흔적이 있었다. 미인총의 벽화고분에 관해 제대로 된 조사 기록이 없어 무덤의 구조와 벽화의 내용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자세히 알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산성하 고분군의 북부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약 20m 떨어진 지점에 귀갑총이 있다. 널방의 주벽에 두 여자가 서있는 그림이 있기 때문에 미인총이라고 하며, 북한에서는 미인무덤으로, 중국에서는 우산하묘군 1296호라고 한다. 일찍이 도굴로 인해 매우 훼손된 상태였기 때문에 봉토가 대부분 사라진 상태였다.
벽화는 벽면에 그려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부분이 떨어져 나가거나 마멸되어서 벽면 윗부분만 확인이 가능한 실정이다. 널방 고임에 두 여자가 서 있는 도안이 발견되었다. 좁은 소매에 폭이 넓은 치마를 입고 있고 있다. 여인은 소박하게 표현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름답다. 널방 안에는 들보[양방(梁枋)]와 정면에서 바라본 연화가 그려져 있다.
미인총의 축조연대에 대해서는 귀갑묘와 축조 연대가 비슷한 점에서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로 추정하는 설이 제기되었다. 또한 무덤의 연대를 추정할 근거는 확실하지 않으나 인물이 표현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생활 풍속도 계열의 벽화로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시기를 5세기 대로 보기도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미인총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