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통구12호묘

馬槽墓/洞溝12號墓/JYM1894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날짜
    1937·1962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太王鎭)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통구 평원의 중부, 우산의 완만한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다. 통화에서 집안으로 통하는 철로와 인접해 있다.
유적개관
1937년 일본학자(쿠로다 겐지[黑田源次])는 고분벽화에 그려져 있는 마구간 형상에 따라 마조묘라고 명명하였다. 해당 고분은 석실봉토분으로 쌍실묘이다. 둘레의 길이는 90m, 높이는 4.6m이다. 고분에는 묘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분은 남실과 북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묘실, 연도 등이 모두 따로 존재한다. 벽화는 석회를 바른 다음 그렸다. 주제는 인물 풍속도이다. 남실 벽화의 이실 뒤에 마구도가 그려져 있는데, 마구간 안에는 가로 방향으로 말구유가 놓여있고, 홍, 황, 청색의 세 마리 말이 묶여져 있다.
참고문헌
「集安高句麗墓葬」, 2007
해설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에 있는 우산하묘구 중부에 위치한 돌방봉토무덤(石室封土墳)이다. 통구평야 중부 우산 남쪽 기슭의 평평하고 완만한 지대에 위치한다. 남쪽에 철로가 있는데, 철로를 넘어 약 460m떨어진 곳에 오회분 4호묘와 5호묘가 있다. 돌방 안에는 벽화가 있다. 부근에 봉토무덤과 계단식 돌무지무덤[積石墓]이 적지 않게 있는데 규모는 작다. 통구 112호분, 집안 서강 122호분, 통구 20호분, 통구연실고분 등으로 불렸다. 1962년 길림성 집안현고고대에 의해 무덤의 재조사와 실측을 하였다. 중국에서는 동구 12호묘, 북한에서는 집안 통구 12호 무덤이라고 한다 1937년에 무덤의 벽화를 발견했는데, 벽화 중에 말구유 그림이 있어서 마조총(馬槽墓)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때 무덤의 문이 열리면서 벽화가 파괴되었다.
무덤은 절두방추형(截頭方錐形)이며 길이는 16m, 높이는 8m이다. 봉토 주위 아랫면에 약간의 가공을 거친 돌 9개가 둘러져 있는데, 돌의 크기는 1m×1m×2m 정도이다. 장군묘와 태왕릉 주위에 있는 호석(護石)과 같다. 무덤의 문은 서향이고 묘는 남북 두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 두방무덤인데, 각각 무덤문과 널길이 있다. 남쪽 방은 정사각형으로 13층의 평행고임을 구축하고 그 위를 돌로 덮어 정연한 아치형 천정을 이룬다. 이 방의 널길 바닥은 방보다 낮다. 천정의 석회는 대부분 떨어져나간 상태이다. 북쪽의 널방은 대체로 남쪽의 방과 같지만, 규모가 작다. 네 벽 위에는 석회벽면을 쌓았고 그 후에 약간 경사를 이루면서 안으로 들여쌓고 마지막에는 돌로 천정을 막았다. 관대는 보이지 않는다.
통구 12호분의 벽화는 널방과 널길에 그려져 있다. 벽화는 주색(朱色, 선명한 빨간 주황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녹색 등의 색으로 벽에 직접 그렸다. 벽화는 대부분 떨어져 나가거나 희미해져 모호하지만 전투, 마굿간, 밥 짓는 기구, 사냥, 무악(舞樂, 춤곡, 벽화에서는 춤추는 모양으로 해석할 수 있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선들은 힘이 있고 색채가 풍부하며 사실적인 것이 특징이다. 두 방에는 각각 부부의 대좌(對坐)가 그려져 있는데 무덤의 주인으로 추정된다. 남자는 왼쪽에 앉아서 남쪽을 바라보며 왼손은 평상을 어루만지고 있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얹었다. 여자는 오른쪽에 앉아 남자를 바라보고 있다. 얼굴 뺨에는 둥근 연지를 하고 있고 두 손을 모으고 꿇어 앉아 있다.
통구 12호분은 2004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 무덤은 치밀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축조가 정연하고 웅장하고 아름다운 널방을 가지고 있다. 널방에는 각각의 문이 있고 부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로 보아 두 무덤주인은 한 봉토무덤에 동시에 매장된 것으로, 고구려의 가족제도를 반영하고 있다. 이 무덤의 벽화는 고구려 벽화가 나날이 성숙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벽화를 통해 살펴보면 무덤의 주인은 호화로운 건축물에서 생활하고 있었으며 마구간에 가득 들어찬 살찐 말들, 노비들로 볼 때 무덤 주인은 고구려의 대귀족으로 추정된다. 이 무덤의 축조연대는 대체로 5세기 대로 추정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통구12호묘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