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삼실총

三室墓/JYM2231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날짜
    1914·1935·1975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 집안 태왕진 우산촌(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太王鎭 禹山村)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집안시 우산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1914년 일본학자(關野首次)에 의해 처음 조사되었고, 1935년 재조사되었다. 고분이 3개 묘실로 구성되었다고 해서 삼실총으로 명명되었다. 1975년 제1묘실 내 흙을 정리하면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3개의 묘실은 동시에 축조되었으며, 석회를 바른 뒤 벽화를 그렸다. 벽화는 생활풍속과 사신도이다. 봉토는 둘레가 30m, 높이가 5m이다. 천정은 모두 평행삼각고임이다.
유물개관
황색시유도기(완 5, 이배 1, 사이호 1), 황색시유부뚜막(도기), 사이호, 쇠못, 개뼈 등
참고문헌
「集安高句麗墓葬」, 2007
해설
중국 길림성 통화, 집안 태왕진 우산촌 5조에 위치한 고구려 돌방봉토무덤[석실봉토분(石室封土墳)]이며 벽화가 있다. 1909년 일본 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조사되었다. 우산묘구 서쪽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250m 떨어진 지점에 오회분이 있다. 북쪽에는 집안-통화간 철로가 놓여있다. 북한은 세 칸 무덤으로, 중국은 집안 통구무덤을 우산하묘구 제2231호묘라고 부른다. 1914년 조사 3개의 널방 및 벽화가 확인되었다. 3개의 널방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삼실총(三室塚)이라고 부른다. 발굴당시 봉토에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었다.
고분은 일찍이 도굴되었다. 널방의 크기는 서로 비슷하고 세 개의 널방이 동시에 축조되어 하나의 통일된 모습이 나타난다. 모두 석재로 쌓았다. 널길과 이음길로 세 개의 널방이 ‘ㄷ’자형으로 이어진 무덤칸 구조이다. 먼저 긴 널길을 지나면 제1널방이, 그 외쪽에 제2널방이 있으며, 그 앞면에 제3널방이 있는데, 각각 짧은 널길로 연결되어 있다. 한 변의 길이는 30m, 높이는 5m에 달한다. 석재에 벽회를 바르고 벽회 벽면 위에 그림을 그렸다. 널방 지면에 벽회를 발라 매우 매끄럽고 정연하다. 제1널방은 5단의 평행고임 위에 2단의 삼각고임을, 제2널방은 4단의 평행고임 위에 2단의 삼각고임을, 제3널방은 5단의 평행고임 위에 3단의 삼각고임을 얹었다.
벽면에는 생활풍속이, 천장의 고임에는 사신이 그려져 있다. 제1실에는 동벽에 무덤주인 부부의 병좌상(竝坐像)이 있고, 남벽에는 상단에 11명의 행렬도, 하단에 수렵도가 그려졌다. 동벽의 부부상은 다른 고구려 벽화고분의 무덤주인공 부부상과 달리 각기 다른 지붕 아래에 남벽을 향하여 앉아 있으며 작게 그려진 시종들이 옆에서 시종을 들고 있다. 북벽에는 공성도(攻城圖)가 있다. 왼편에 지그재그 형태로 그려진 성이 있고, 성 바깥에 네 명이 기갑무사가 두 명씩 싸움을 하고 있다. 하단의 두 명의 기갑무사들이 말 위에 탄 채 긴 창을 들고 싸우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천장에 사신도와 운문도안이 그려졌다. 제1실은 생활풍속도인 반면, 제2실과 제3실은 벽면 크기의 역사상(力士像)과 무사상이 각 벽면마다 그려져 있어 이채로운 벽화 구성을 보인다. 천장 각 단에는 사신, 인면조신(人面鳥神), 기악천인 등이 있다. 각저총, 무용총, 통구 12호묘, 마선구 1호묘보다 새로운 내용이 풍부한 점이 특징이다.
발견된 유물로는, 제1널방 내의 진흙을 정리한 뒤 널방 바닥에서 많은 인골(人骨)과 5종 8점의 시유도기가 발견되었다. 그 외에 많은 철제못과 동물뼈가 발견되었다. 삼실총의 배치는 새롭고 안정되어 고구려 석조건축 예술의 발전 수준을 잘 보여준다. 벽화의 내용을 볼 때 묘의 주인이 거주한 집은 상당히 화려하다. 이러한 건물은 고구려의 일반인이 거주하는 집이 아니라, 상층 귀족의 집이라고 할 수 있다. 삼실총의 축조연대에 대해서는 대체로 5세기로 보고 있으며 늦어도 6세기 초반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실총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