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성자구관애/성자구파산성

城子溝關隘/城子溝山城
  • 저필자
    권순홍(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반석현 보산향 동가촌(吉林省 磐石縣 寶山鄕 東家村)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200m
입지
중국 길림성 반석현 보산향 대과회산 남쪽에 위치해 있다. 해발 650m인 대과회산은근처의 여러 산 중에서 가장 높다. 관애에서 약 1km 떨어진 곳이 보산향 관두창(罐頭廠)인데, 반석에서 휘남으로 통하는 도로가 지나간다.
유적개관
길림 반석현 보산향 대과회산 남쪽에 있는 고구려 관애로, 양쪽 산 사이의 계곡에 조성된 관애이다. 토석혼축으로 된 길이 200m가량의 성벽이 계곡을 막고 있다. 중국측에서는 성자구 관애를 성자구파 산성(城子溝山城)으로 보기도 한다. 성벽의 양쪽 끝은 동, 서 양측 산등성이로 연결되어 있다. 동쪽 성벽의 기초가 잘 남아 있는 편으로, 기저부 폭은 3~4m, 상부 폭은 1m이며, 잔존 성벽의 높이는 2m이다. 성벽은 토석혼축이다. 차단벽의 중간 쯤에는 폭 3m 정도로 잘려나간 곳이 있는데, 통행로로 이용되고 있다. 차단벽 안쪽으로는 2개의 우물지가 있고, 2줄기의 작은 시냇물이 남쪽으로 흘러나간다.
유물개관
석부
참고문헌
「磐石縣文物志」
해설
보산향 대과회산(大鍋盔山) 남쪽에 있는 산성이다. 이 산은 해발 650m로, 성벽은 동서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약 200m이다. 성벽의 양쪽 끝은 동·서 양측 산등성이로 연결되어 있는데, 성벽은 밑변을 이루고 양쪽 능선은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는 요지(凹地)이다. 이러한 형식을 패성(壩城) 혹은 관애(關隘)라고도 부르는데, 패(壩)는 제방의 의미로 곡부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지에서 약 1km 떨어진 곳이 보산향 관두창(罐頭廠)인데 반석(磐石)에서 휘남(輝南)으로 통하는 도로가 지나간다. 성내에는 2개의 우물이 있고, 2줄기의 작은 시냇물이 남쪽으로 흘러나간다. 동쪽 성벽의 기초가 잘 남아 있는데 높이 약 2m 정도, 기저부의 너비 3~4m로 차이가 있고, 상단부의 너비 1m이다. 동벽 중간쯤에 폭 3m 정도의 개구부(開口部)가 있어 지금도 통행로로 이용되고 있다.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 쌓았고 산성의 북단에 길이 300m, 너비 200m의 완만한 경사지가 있으나 유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문지도 어디였는지 알 수 없다. 1960년 5월에 서쪽 성벽의 흙을 파다가 구덩이에서 돌도끼, 석재(石材) 등의 유물을 습득하였다고 하며, 현지 주민들의 회고에 따르면, “성자구(城子溝)”는 이 산성으로 인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전해져온 연대는 미상이다. 지형으로 볼 때 대과회산의 고도는 근처의 여러 산 중에서 가장 높아 이 산봉우리로 최고점을 삼고 있다. 산등성이와 성벽으로 둘러싼 이 산성은 방어는 쉽고 공격은 어려우며, 성내의 면적이 넓고 물이 풍부한 요새지이다. 이 성의 축조형식과 특징이 고구려 산성의 구조를 따르고 있어 고구려 시기의 방어용 군사성보(軍事城堡)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자구관애/성자구파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1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