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광계련(廣階連; 히로하시노무라지)

광계련(廣階連; 히로하시노무라지)
 위(魏) 무황제(武皇帝)의 아들 진사왕(陳思王) 식(植)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광계련(廣階連)
광계련의 옛 성은 상촌주(上村主)이다. 광계숙녜진상(廣階宿禰眞象)의 졸전(卒傳)이 실려 있는 『유취국사(類聚國史)』 66(卒年, 天長 8년 3월 병오조)에 광계숙녜진상은 외종5위하 충마려(虫麻呂)의 아들로 나온다. 『속일본기』 보귀(寶龜) 10년(779) 2월 병오조에 정6위상 상촌주충마려(上村主虫麻呂)에게 외종5위하의 관위를 주었다고 한다. 또 상기 졸전에는 천장(天長) 원년(824)에 광계련에서 광계숙녜(廣契宿禰)로 개성하였고, 동 3년에는 고근조신(高根朝臣)으로 고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광계숙녜(廣階宿禰) 일족으로는 『일본후기』 홍인(弘仁) 6년(815) 정월 기묘조에 광계숙녜상마려(廣階宿禰象麻呂)가 있다. 『일본문덕천황실록』 제형(齊衡) 2년(855) 8월 신묘조에는 “산위 외종5위상 상촌주궁웅(上村主宮雄), 우대사(右大史) 정6위상 하원련정웅(河原連貞雄) 등은 광계숙녜(廣階宿禰)로 고쳤다”라고 한다. 이해에 광계숙녜의 씨성을 받은 하원련은 방계씨족이다.
한편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観) 8년(866) 윤3월 임술조에는 좌경인 좌소사(左少史)정6위상 상촌주팔조(上村主八釣), 전 출운대목(出雲大目) 정7위하 상촌주정성(上村主貞成) 등이 광계숙녜의 씨성을 받고, 자신들이 위(魏) 진사왕(陳思王) 조식(曹植)의 후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2. 위무황제(魏武皇帝)
위나라의 태조인 조조(155~220)이다.
3. 진사왕식(陳思王植)
삼국 시대 위 태조인 무제의 아들로, 이름은 조식(曺植)(192~232)이다.
이 인물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상) 「상촌주(上村主)」 조(773)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광계련(廣階連; 히로하시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