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읍내리벽화분

邑內里壁畵墳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삼국시대
  • 위치
  • 원소장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산29-1번지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읍내리를 에워싸고 있는 비봉산 서남방향으로 뻗어내려온 구릉의 중복 경사면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대구대학교박물관과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 발굴조사된 유적으로, 장방형 현실에 좌편재 연도를 갖추었다. 현실에는 석회를 바르고 벽화를 그렸는데, 연도 동벽에는 역사가 그려져 있고, 현실에는 여러 인물과 산악도, 연지, 서조, 구름 등이 그려져 있으며, 남벽에는 세로로 기말중묘구인명구(己末中墓口人名口)라는 명문이 적혀 있어, 고분의 축조 연대는 535년 혹은 595년 전후로 추정된다. 신라의 벽화고분이나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발굴보고서
해설
1985년 대구대학교박물관에서 발견하여 조사되었고, 같은 해 사적 313호로 지정되었다. 공식명칭은 ‘순흥읍내리벽화고분’에서 ‘영주순흥벽화고분(榮州順興壁畵古墳)’으로 2011년 변경되었다.
순흥면 면소재지에 약 800m 떨어진 마을 왼편 소백산맥 비봉산(飛鳳山) 구릉의 해발 430m 지점에 위치한다. 주변에는 10여기의 고분이 존재하여 ‘읍내리고분군’으로 부르기도 한다.
발견 당시 이미 도굴당하여 동쪽 벽에 구멍이 뚫려있었고, 유물은 5점의 토기 편 외에 남아있지 않았다.
무덤은 석실을 만들고 입구에서 석실까지 연도(羨道, 널길)를 만든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석실 내부 벽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어서, 먼저 발견된 벽화고분인 1km 인근 순흥어숙묘(順興於宿墓)와 함께 주목되었다.
벽화는 연도의 좌우 벽, 석실의 네 벽면, 시신을 안치하기 위해 바닥에서 올려 조성한 시상대(屍床臺)의 측면에 회(灰)를 도포하고 붉은색, 노란색 등의 색을 칠하여 그려 넣었다.
석실의 동쪽 벽에는 도굴 당시 구멍을 뚫고 들어왔기 때문에 벽면이 떨어지면서 훼손이 심하다. 다만 위쪽에 산악도(山岳圖)와 상서로운 새[瑞鳥圖]를 그려 넣은 것이 확인된다.
북쪽 벽면은 중간 부분의 회칠이 떨어져나가면서 위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확인이 불가하다. 위쪽에는 동벽에서 이어지는 산악도가 계속되고, 날고 있는 세 마리의 새를 선으로 단순하게 표현하였다. 제일 위쪽과 왼쪽에는 연꽃들을 풍경화식으로 표현하였는데, 연못을 표현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는 고구려 중후기의 양식이며 불교의 영향으로도 보인다.
서벽에는 뱀을 손에 쥔 역사(力士)를 가운데에 배치하고 집과 버드나무 그리고 여인을 그렸다.
남벽에는 벽화는 많지 않았지만 큰 글씨로 “己未中墓像人名□□(기미중묘상인명□□)”이라는 묵서명문(墨書銘文)이 남아있다.
시상대와 연도에는 삼지창을 든 인물상과 기하학 무늬를 그려 넣었다.
고분 발견 이후 역사학계와 고고학계, 미술사학자들까지 학계의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무덤의 조영주체, 피장자의 신분, 벽화의 성격 등에 대해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지는 못했다. 도굴로 인해서 시기를 특정할 만한 지표유물을 발견할 수 없었고, 묵서명 역시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벽화의 그림 역시 고구려 고분과 유사하기는 하지만, 세부적 표현에서 차이점들이 많아 고구려 벽화라고 확정할 수 없었다. 다만 무덤의 양식으로 보아 대체로 6세 중엽으로 추정되며, 고구려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결과임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읍내리벽화고분은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몇 안 되는 삼국시대 벽화고분이라는 자체로 중요한 유적이다. 벽화 그림들은 삼국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의 종교관과 죽음 뒤의 내세관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실증자료이며, 소백산맥을 넘어 영주지역까지 미친 고구려의 영향력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고분은 폐쇄하고 고분 앞쪽에 주차장과 고분 모형을 만들어 관람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읍내리벽화분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3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