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王頎逐北, 銘勳不耐之城,

王頎주 001
각주 001)
원문 「傾」.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頎」로 교감. 이는 魏 정시 연간에 관구검을 따라 고구려를 공격했던 현도태수 ‘王頎’를 지칭하는 것이므로 「頎」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교감.
닫기
逐北, 銘勳不耐之城,
髙麗記曰: “不耐城, 今名國內城. 在國東北六百七十里.” 本주 002
각주 002)
원문 「奔」.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本」으로 교감. 문맥상 「本」으로 교감.
닫기
漢不而縣也. 漢書地[理]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理」 보입. 『한서』 地理志를 말하는 것이므로 「理」 보입.
닫기
志: “不而縣屬樂浪郡, 東部都尉治處.” 後漢省. 魏志曰: “正始中, 毋丘儉주 004
각주 004)
원문 「儉」. 탕천본·길림본 「儉」으로 교감.
닫기
주 005
각주 005)
원문 「佂」. 탕천본·길림본 「征」으로 교감. 「征」의 오기이므로 「征」으로 교감.
닫기
髙句驪, 遂束주 006
각주 006)
원문 「東」. 죽내본 「連」, 탕천본·길림본 「束」으로 교감. 「束」의 오기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束」으로 교감.
닫기
馬懸車, 以登丸주 007
각주 007)
원문 「凡」. 길림본 「丸」으로 교감. 「丸」의 오기임이 분명하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에 따라 「丸」으로 교감.
닫기
都, 屠句驪所都. 斬獲首주 008
각주 008)
원문 「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首」로 교감. 문맥상 「首」의 오기로 여겨지며, 이에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首」로 교감.
닫기
虜以千주 009
각주 009)
원문 「于」. 죽내본·길림본 「千」으로 교감. 「千」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千」으로 교감.
닫기
數. 六年, 復征之, 王宮遂奔買溝주 010
각주 010)
원문 「講」.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溝」로 교감. 「溝」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溝」로 교감.
닫기
. 儉遣玄菟太守王頎追之, 過沃沮千有餘里, 至肅愼南界. 刻주 011
각주 011)
원문 「刻」. 길림본 「刻」으로 교감.
닫기
石紀功. 刊주 012
각주 012)
원문 「刑」. 죽내본·길림본 「刊」으로, 탕천본 「刋」으로 교감. 「刊」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刊」으로 교감.
닫기
주 013
각주 013)
원문 「九」. 죽내본·길림본 「丸」으로 교감. 「丸」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丸」으로 교감.
닫기
都之山, 銘不耐之城.”

  • 각주 001)
    원문 「傾」.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頎」로 교감. 이는 魏 정시 연간에 관구검을 따라 고구려를 공격했던 현도태수 ‘王頎’를 지칭하는 것이므로 「頎」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奔」.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本」으로 교감. 문맥상 「本」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理」 보입. 『한서』 地理志를 말하는 것이므로 「理」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儉」. 탕천본·길림본 「儉」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佂」. 탕천본·길림본 「征」으로 교감. 「征」의 오기이므로 「征」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東」. 죽내본 「連」, 탕천본·길림본 「束」으로 교감. 「束」의 오기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束」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凡」. 길림본 「丸」으로 교감. 「丸」의 오기임이 분명하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에 따라 「丸」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首」로 교감. 문맥상 「首」의 오기로 여겨지며, 이에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于」. 죽내본·길림본 「千」으로 교감. 「千」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千」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講」.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溝」로 교감. 「溝」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溝」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刻」. 길림본 「刻」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刑」. 죽내본·길림본 「刊」으로, 탕천본 「刋」으로 교감. 「刊」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刊」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九」. 죽내본·길림본 「丸」으로 교감. 「丸」의 오기로 보이므로 『삼국지』 관구검전을 참조하여 「丸」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王頎逐北, 銘勳不耐之城,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