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柏城有備, 杜崇之效克宣,

주 001
각주 001)
원문 「栢」. 죽내본 「栢」, 탕천본·길림본 「柏」으로 교감.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柏」으로 교감.
닫기
城有備, 杜주 002
각주 002)
원문 「▼{衤+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杜」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杜」로 교감.
닫기
崇之效克宣,
後漢書曰: “中郞주 003
각주 003)
원문 「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郞」으로 교감. 문맥상 「郞」으로 교감.
닫기
將杜崇주 004
각주 004)
원문 「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崇」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崇」으로 교감.
닫기
. 度주 005
각주 005)
원문 「渡」.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度」로 교감. 한대 관직명에 따라 「度」로 교감.
닫기
遼將軍朱徽주 006
각주 006)
원문 「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徽」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徽」로 교감.
닫기
等, 上言: ‘南單于安國疏주 007
각주 007)
원문 「踈」. 죽내본·탕천본 「疎」로 판독하고 교감하지 않음. 길림본은 「疏」로 교감. 문맥상 「疏」로 교감.
닫기
遠故胡. 右部降者, 謀共迫脅安國, 起兵背叛주 008
각주 008)
원문 「叛」. 길림본 「畔」으로 교감. 길림본은 『후한서』에 의거해 교감했으나 ‘背畔’과 ‘背叛’은 뜻이 통한다. 한편 현전하는 『후한서』에 의거하여 『한원』을 교감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畔」으로 교감하는 것은 보류.
닫기
, 請爲之儆備.’ 帝從之. 於是崇·徽遂發兵[造]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후한서』에 의거하여 「造」를 보입. 문맥의 흐름상 동사에 해당하는 「造」가 필요하므로 보입.
닫기
其庭. 安國夜聞주 010
각주 010)
원문 「間」. 죽내본·길림본 「聞」으로 교감. 문맥상 「聞」으로 교감.
닫기
漢軍至, 大驚주 011
각주 011)
원문 「敬」.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驚」으로 교감. 문맥상 「驚」으로 교감.
닫기
棄帳주 012
각주 012)
원문 「弃帳」. 탕천본 「弃張」, 길림본 「弃悵」으로 판독 후 「棄帳」으로 교감. 「棄」는 통용자로, 「帳」은 문맥을 고려하여 교감.
닫기
而去. 因擧兵反, 將誅左賢주 013
각주 013)
원문 「右谷蟸」.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은 본문에는 「右谷蟸」이라고 하였지만 「左賢」의 오기라는 교감기를 덧붙임. 길림본 역시 『후한서』를 참조해 「左賢」으로 교감. 師子는 본래 左谷蟸王이었으나 安國이 單于에 오른 뒤 左賢王이 되었다는 내용이 『후한서』에서 확인되므로 「左賢」으로 교감.
닫기
王師子주 014
각주 014)
원문 「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子」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子」로 교감.
닫기
. 師子주 015
각주 01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先」을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知, 乃悉將廬落, 入曼柏주 016
각주 016)
원문 「栢」.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柏」으로 교감. 길림본 정문에서는 「柏」으로 교감하였으나 주문에서는 「栢」으로 둠. 정문과 『후한서』를 참조해 「柏」으로 교감.
닫기
城. 安國追到城下, 門閉주 017
각주 017)
원문 「閇門」.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門閉」로 교감. 문맥상 「門閉」로 교감.
닫기
不得[入]주 018
각주 01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入」을 보입. 문맥의 흐름상 「入」을 넣어야 뜻이 통하므로 보입.
닫기
. 杜주 019
각주 019)
원문 「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杜」로 교감.
닫기
崇等, 遣吏曉譬和之, 安國不聽. 城旣不下, 乃引兵屯주 020
각주 020)
원문 「屯」. 죽내본·탕천본 「屯」으로 교감.
닫기
五原.崇·徽因發諸郡騎, 追赴之急, 安國舅骨都侯喜주 021
각주 021)
원문 「嘉」. 길림본 「喜」로 교감. 『후한서』에는 「喜」로 되어 있음. 다른 사서를 확인한 결과 흉노 관련 기록에서 ‘嘉爲’라는 인명은 확인되지 않음. 이에 『後漢書』를 따라 「喜」로 교감.
닫기
爲等, 慮주 022
각주 022)
원문 「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慮」로 교감. 문맥상 「慮」로 교감.
닫기
幷被誅, 乃格殺安國也주 023
각주 023)
원문 「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也」를 연자처리함. 「也」는 종결의 의미를 가지므로 삭제하지 않고 원문대로 유지.
닫기
.”

  • 각주 001)
    원문 「栢」. 죽내본 「栢」, 탕천본·길림본 「柏」으로 교감.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柏」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衤+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杜」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杜」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郞」으로 교감. 문맥상 「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崇」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崇」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渡」.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度」로 교감. 한대 관직명에 따라 「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徽」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徽」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踈」. 죽내본·탕천본 「疎」로 판독하고 교감하지 않음. 길림본은 「疏」로 교감. 문맥상 「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叛」. 길림본 「畔」으로 교감. 길림본은 『후한서』에 의거해 교감했으나 ‘背畔’과 ‘背叛’은 뜻이 통한다. 한편 현전하는 『후한서』에 의거하여 『한원』을 교감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畔」으로 교감하는 것은 보류.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후한서』에 의거하여 「造」를 보입. 문맥의 흐름상 동사에 해당하는 「造」가 필요하므로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間」. 죽내본·길림본 「聞」으로 교감. 문맥상 「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敬」.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驚」으로 교감. 문맥상 「驚」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弃帳」. 탕천본 「弃張」, 길림본 「弃悵」으로 판독 후 「棄帳」으로 교감. 「棄」는 통용자로, 「帳」은 문맥을 고려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右谷蟸」.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은 본문에는 「右谷蟸」이라고 하였지만 「左賢」의 오기라는 교감기를 덧붙임. 길림본 역시 『후한서』를 참조해 「左賢」으로 교감. 師子는 본래 左谷蟸王이었으나 安國이 單于에 오른 뒤 左賢王이 되었다는 내용이 『후한서』에서 확인되므로 「左賢」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子」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先」을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栢」.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柏」으로 교감. 길림본 정문에서는 「柏」으로 교감하였으나 주문에서는 「栢」으로 둠. 정문과 『후한서』를 참조해 「柏」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閇門」.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門閉」로 교감. 문맥상 「門閉」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入」을 보입. 문맥의 흐름상 「入」을 넣어야 뜻이 통하므로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杜」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屯」. 죽내본·탕천본 「屯」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 「嘉」. 길림본 「喜」로 교감. 『후한서』에는 「喜」로 되어 있음. 다른 사서를 확인한 결과 흉노 관련 기록에서 ‘嘉爲’라는 인명은 확인되지 않음. 이에 『後漢書』를 따라 「喜」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 「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慮」로 교감. 문맥상 「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 「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也」를 연자처리함. 「也」는 종결의 의미를 가지므로 삭제하지 않고 원문대로 유지.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柏城有備, 杜崇之效克宣,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160